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홍순학의 기행가사 연행가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3. 28.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홍순학의 기행가사 연행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청나라 여행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홍순학의 기행가사 연행가

홍순학의 기행가사 연행가

 

 

홍순학의 기행가사 연행가 해석 해설

홍순학의 기행가사 연행가 해석 해설입니다. 

 

홍순학의 기행가사, 연행가

연행가의 별칭과 출전

이 작품은 일명 병인연행가(丙寅燕行歌)라고도 하며, 또 북원록(北袁錄), 연행록(燕行錄), 원녹 등 여러 이름으로 전하는데, 교과서에 실은 것은 심재완 교합본(沈載完校合本)을 대본으로 하되 현저하게 잘못된 표기는 바로잡았다.

작품 개관과 역사적 의의

홍순학이 지은 이 작품은 중국을 다녀온 내용을 적은 것으로, 중국에 가는 목적이 주로 사행(使行)이었으므로 이런 내용을 가진 작품들을 가리켜 사행 가사라고도 한다. 이 작품은 김인겸(金仁謙)의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와 더불어 조선 전기의 양반 가사를 계승하는 대표적인 후기 가사 작품으로 평가를 받고 있는데, 작품의 길이가 매우 긴 것이 특징이다.

작품 내용

내용은, 고종의 왕비를 책정한 일로 고종 3년(1866)에 중국에 사신을 보낸 진하사은 겸주청사행(進賀謝恩兼奏請使行)에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것을 노래한 가사 작품이다. 일행이 4월 9일 서울을 출발하여 6월 6일 북경에 당도하고 40일 간의 부경 체류 후 8월 23일 다시 집으로 돌아오기까지 130여일 간의 여정에서 보고 들은 바를 기술하였다.

작품 구성

작품의 시작은 서울을 떠나 모화관, 무악재, 홍제원, 녹번, 박석, 구파발, 창릉내, 고양, 파주목, 임진강, 진서루, 장단부, 송도, 만월대, 선죽교, 청석관, 금천, 청단역, 돌여울, 평산부, 곡산부, 중화참, 총수관, 서흥부, 검수관, 봉산군, 사인암, 황주, 월파루, 중화부, 이천역, 대동역, 평양에 이르며, 평양에서 연광정, 부벽루, 대동문, 청류벽, 전금문, 영명사, 칠성문, 기자문 등을 돌아본 뒤 순안현, 숙천부, 안주성, 만경루, 백상루, 청천강, 박천, 가산, 샛별령, 납청정, 정주성, 북장대, 곽산군, 선천부, 위검정, 동림진, 차련관, 철산, 서림진, 양채관, 용천, 청류암, 석계교, 소곶관 등을 거쳐 의주 들어가 취승당과 통군정을 구경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그 다음이 교과서에 실린 부분인데, 압록강 도강 장면에서 시작하여 구련성, 금석산, 온정평을 거쳐 봉황성에 이르러 보게 된 호인(好人)의 인상, 남녀의 모습, 옷차림, 가옥 구조, 식생활, 짐승치기, 육아법, 베짜기 등을 묘사한 것이다.

표현상의 특징

그 뒤에는 북경에 이르기까지의 도정과 북경에서 보고 느낀 점을 담고 있고, 다시 돌아오는 노정을 따라 중국 풍물의 묘사가 이어진다. 압록강을 건너기까지는 고국의 산천과 거기에 얽힌 역사적 사실들을 사실적이면서도 정감 있게 묘사하였으며, 도강 이후는 중국의 제반 풍물·세태·자연 풍치 등을 뛰어난 관찰력으로 그려 내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