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홍성원의 소설 무사와 악사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5. 22.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홍성원의 소설 무사와 악사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지식인 계층의 부정적 존재 방식 비판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홍성원의 소설 무사와 악사

홍성원의 소설 무사와 악사

 

 

홍성원의 소설 무사와 악사 해석 해설

홍성원의 소설 무사와 악사 해석 해설입니다. 

 

홍성원의 소설 "무사와 악사"

서론

홍성원의 중편 소설 "무사와 악사"는 일제 강점기 말엽부터 1950년대까지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지식인의 부정적인 삶의 방식을 비판하는 작품입니다.

줄거리

소설의 주인공 김기범은 영민한 두뇌를 가진 인물로, 일제 강점기에 학도병으로 끌려가는 조선인 학생들을 위해 조선 만세를 부르자는 계획에 참여하지만, 현명하게 상황을 파악하여 조선 만세, 일본 만세, 대동아 만세를 모두 부름으로써 동지들의 체면을 지키고 체포를 피합니다. 해방 후에는 친일 행위자를 옹호하는 기사를 쓰기도 하며, 상대방 후보에게 매수되어 친구였던 오일규를 배반하는 행동을 보입니다.

오일규는 사회적 지위와 명성을 얻는 인물이지만, 김기범은 그의 진짜 의도를 간파하고 있습니다. 오일규가 교통 사고로 사망한 후, 김기범은 장례식에서 "세상이 편안할 때면 칼을 뽑는 무사"인 오일규를 칭송하며 살아온 자신을 "악사"라고 비유합니다. 무사와 악사는 서로 결멸하면서도 호의적으로 지내는 존재로, 이는 지식인의 부정적인 삶의 방식을 풍자하는 것입니다.

등장인물

 김기범: 영민한 두뇌를 가진 주인공으로, 현실적인 실리를 중시하는 기이한 행동을 보임
 오일규: 사회적 지위와 명성을 얻은 인물로, 김기범의 친구이자 상대적 존재
 정동근: 김기범의 친구이자 소설의 서술자

주제와 의미

"무사와 악사"는 지식인의 부정적인 삶의 방식을 비판하는 작품입니다. 주인공 김기범의 행적은 위험을 피하고 이익을 추구하는 비겁한 지식인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오일규는 사회적 성공을 추구하는 비천한 지식인의 모습을 상징합니다. 작가는 이 두 인물을 무사와 악사에 비유함으로써 지식인이 사회에서 비겁하게 살면서도 명성을 추구하는 모순된 삶을 풍자하고 있습니다.

구성과 특징

소설은 김기범의 친구인 정동근의 회상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서술자는 인물의 말과 행동을 제시하여 추리 소설적인 기법을 활용합니다. 또한 이 작품은 우의적, 비판적, 풍자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결론

홍성원의 "무사와 악사"는 격동기의 지식인의 부정적인 삶의 방식을 풍자적으로 그린 작품입니다. 주인공 김기범의 기이한 행적은 위험을 피하고 이익을 추구하는 비겁한 지식인의 모습을 보여주며, 작가는 이를 통해 지식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반성을 촉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