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완성 중 최현의 가사 명월음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완성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우국지정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최현의 가사 명월음
최현의 가사 명월음 해석 해설
최현의 가사 명월음 해석 해설입니다.
명월음
달아 달아 밝은 달아 맑은 하늘에 떠있는 달아
얼굴은 언제 나오며 밝게 비추는 것은 누가 시켰나
서산에 해가 숨고 긴 밤이 침침하게 어두울 때
청렴을 열어놓고 거울을 닦아내니 한 조각 빛추는 빛이 온 세상을 밝혔구나
한밤 찬 바람에 눈이 내린 것인가 서리가 내린 것인가
어찌하여 온 천지가 옥황상제가 사는 궁궐처럼 아름답게 변했는가
동쪽 하늘이 밝아오니 수정처럼 아름다운 발을 걸어놓고
아름다운 거문고를 비스듬히 안아 봉황곡이라는 노래를 연주하니 별들이 맑게 빛나며 먼 하늘로 들어가고 계수나무 아래에 있는 옥토끼도 돌아본다
호박잔에 술을 가득 부어 권하고 하니 정이 넘치는 미녀도 술잔 아래에서 빛난다
맑은 빛을 머금으니 폐부에 흘러들어 한없이 넓은 가슴 속에 들지 않는 구석이 없다
옷가슴을 헤쳐내고 옥황상제가 사는 궁궐에 돌아앉아 속에 담고 있던 마음을 다 아뢰고자 했지만
사납고 성긴 뜬 구름이 어디서 와서 가리고 있는 것인가 하늘과 땅이 깜깜하여 앞이 보이지 않아 온갖 사물을 다 볼 수 없구나
상하좌우로 어디로 갈지 모르겠다
멀리 우뚝 솟은 산봉우리에 옛날 빛이 비치는 듯하고 구름 사이로 나왔더니 무리지어 구름이 미친 듯이 몰려와 희미한 빛이 점점 멀어져간다
중문을 닫아놓고 정원에 따로 서서 매화 한 송이가 계수나무 그늘인지 살펴보니 처량한 매화 향기가 나와 나와 함께 근심하는 듯하다
문에 걸려 있던 발을 걷어내고 동쪽 창가에 혼자 앉아 거울을 닦아내어 벽에 걸어두니 제 몸만 밝히고 남을 비추는 법을 모르는구나
둥근 비단 부채로 긴 바람을 부쳐내어 이 구름을 다 걷어내고 대나무로 큰 빗자루를 만들어 저 구름을 다 쓸어가고 싶구나
먼 하늘은 만 리요 이 몸은 먼지와 진토와 같으니 엉성한 나의 이 뜻이 헤아려보니 헛된 일이구나
가뜩이나 근심이 많은데 긴 밤이 어찌나 지루한지 輾전반측하며 잠을 이루지 못하고 다시 생각하니 달이 차고 지며 초목이 자라고 시들듯 천지도 무궁하구나 바람과 구름이 변화하더라도 본래의 모습이 어디로 가겠는가 우리들도 임금에 대한 충성심을 지켜서 밝은 달을 볼 날을 기다리겠노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