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인터넷수능 중 최일남의 소설 노새 두마리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수능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고향상실,시대착오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최일남의 소설 노새 두마리
최일남의 소설 노새 두마리 해석 해설
최일남의 소설 노새 두마리 해석 해설입니다.
최일남의 소설, 노새 두마리
줄거리
노새를 생계수단으로 연탄배달을 하는 가족은 도시 변두리에서 어렵게 생활한다. 그러다 신동네가 생기면서 연탄배달 주문도 늘고(사람들이 노새가 신기해서 흥미로 연탄배달을 많이 한다.) 좋아하는데, 어느 정도 시간이 흘러 이제 그 관심도 떨어지고 주문도 점차 줄어든다. 그런 와중에 가족의 생계 수단인 노새가 도망친다. 생계를 위협하는 이 상황 속에 아버지와 나는 노새를 찾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지만 찾지 못하고 돌아온다. 그 과정에서 그 누구도 가족의 상황에 관심을 갖거나 도와주려고 하지 않는다. 도시의 비정함 속에서 나는 아버지가 일만 하고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노새가 아닌가 생각하며, 아버지 역시 이제는 내가 노새다라고 말하면서 가장으로서 이제는 가족의 생계를 자기가 책임져야 한다는 책임의식을 드러낸다. 그 결심으로 귀가하지만 기다리고 있는 것은 또 다른 불행이다. 도망친 노새가 사람들에게 해코지를 한 것이다. 경찰서로 오라는 말을 듣고 집을 나가는 아버지를 보며, 나는 아버지와 노새 모두 도시적 삶에 적응하며 사는 것이 힘겨운 일임을 깨달으며, 언젠가 이웃이 말한 비행기, 헬리곱터, 자동차가 빵빵 거리는 대처에서 노새로 사는 것은 힘들다는 말을 떠올린다.
핵심정리
▶갈래 : 단편소설, 사회소설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배경 : 시간적 1970년대 서울 / 공간적 서울 변두리 동네
▶주제 : 정신적, 정서적 뿌리와 고향을 상실한 한 가족의 기이한 삶과 시대착오적인 풍습
(작가의 주제의식 고향을 떠나 도시 변두리에서 추락해 가는 한 가장의 모습을 통해 고향을 상실한 한 가족의 기이한 삶과 시대착오적인 풍습을 보여주려 한다.)
▶특징 :
나는 순진한 눈을 가진 아이로서, 동네 사람들 속에서 살아가는 아버지의 삶에 초점을 두고, 대체로 관찰자의 시점으로 그려내고 있다.
나는 서술의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구동네 사람들 눈을 잠시 빌려 새동네 사람들의 삶을 보여주고는 있지만, 급격한 산업화의 물결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단한 삶을 사는 아버지와 나의 모습을 연민의 시각으로 서술하고 있다.
도시에서는 볼 수 없는 노새가 연탄을 배달하는 상황을 제시하여 한국 사회의 혼란스러운 풍속을 보여 줌
이해와 감상
한 가족이 마땅히 뿌리박고 살아야 할 고향을 등지고 서울로 올라와 겪는 기이한 삶과 정황을 그리고 있다. 이미 도시에서는 종적을 감춘 노새가 연탄을 배달하는 기이한 풍경과 결말, 그리고 서울에서 자수성가하여 상류 생활을 하게 된 아들에게 얹혀사는 시골 어머니의 모습을 통해 한국 사회의 불협화음적인 풍속의 괴리를 볼 수 있다.
이 작품에서 노새는 이 시대를 힘겹고 고단하게 살아가고 있는 아버지들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무거운 짐을 지고 가파른 언덕을 올라야 하는 노새는,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정신적 뿌리를 상실했지만, 가장의 책임을 다하려는 아버지들의 모습과 닮아 있다. 또한 도시에서 볼 수 없는 노새가 소설 속에 등장하는 배경에는 도시화로 인해 고향을 잃어버리고 혼란스러워하는 소시민들의 고달픔과 소외감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한 작가의 의도가 담겨있다. 하늘에는 비행기가, 땅에는 자동차들이 점령한 도시 안에서 마차를 끄는 노새는 급변하는 사회 안에 내재되어 있는 풍속의 괴리와 뒤죽박죽된 삶의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노새 ↔ 헬리곱터, 자동차 자전거
(풍속의 괴리와 불협화음)
더 알아보기
▲노새의 기능
이 작품에 등장하는 노새는 이 시대를 힘겹고 고단하게 살아가고 있는 아버지를 상징한다. 무거운 짐을 지고 가파른 언덕을 올라야 하는 노새는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정신적 뿌리를 상실했지만 가장의 책임을 다하려는 아버지의 모습과 많이 닮아 있다. 또한 도시에서는 볼 수 없는 노새가 소설 속에 등장하는 배경에는 도시화로 인해 고향을 잃어버리고 혼란스러워하는 소시민들의 고달픔과 소외감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한 작자의 의도가 담겨 있다.
※ 참고
최일남의 주제가 보다 강렬하게 응축되어, 풍속적인 괴리가 삶의 파탄으로 접근한다는 경고적인 예를 그의 <노새 두 마리>와 <흔들리는 성(城)>에서 찾아보자. 이 두 단편에 특히 주목하는 것은 가족이란 틀의 안과 밖을 통해 도시의 문화와 풍속이 농촌의 그것과 정면으로 맞부닥치는 데서 야기되는, 정신적으로 정서적으로 뿌리뽑힌 한국인의 심상을 검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작가는 이미 도시에서는 종적을 감춘 노새가 연탄을 배달하는 기이한 풍경과 결말, 그리고 서울서 자수성가하여 상류생활을 하게 된 아들에게 얹혀 사는 시골 어머니의 열패에서 한국 사회의 불협화음적인 풍속의 괴리를 보여준다.
<노새 두 마리>는 한 가족이 마땅히 뿌리박고 살아야 할 고향을 버리고 서울로 틈입해 들어왔을 때 파탄나고야마는 정황을, <흔들리는 성>은 한 가족 내에서 일상의 정서적 실용적 배경이 다른 사람끼리 모임으로써 뿌리째 흔들리는 가정의 분위기를 묘사함으로써, 작가는 이 두 가정의 좌절과 동요의 모습을 통해, 한국 사회에 대한 하나의 비유를 하고 있는 것이다.
출제목록
2015 ebs 인터넷수능b
2010 ebs 300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