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최승호의 시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5. 18.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완성 중 최승호의 시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완성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신념을 지키는 순수성 결의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최승호의 시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

최승호의 시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

 

 

최승호의 시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 해석 해설

최승호의 시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 해석 해설입니다. 

 

최승호 시인의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는 자유와 순수성을 갈구하는 시인의 내면을 북가시나무로 상징하여 그린 작품입니다. 이 시는 다섯 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연마다 시인의 심경과 현실에 대한 저항 의지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1연

하늘에서 새 한 마리 깃들이지 않는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를
무슨 무슨 주의의 엿장수들
가위질, 낫질하네.

시인은 자신이 살고 있는 현실이라는 북가시나무에 자유의 날개를 가진 새가 깃들 수 없는 곳이라고 말합니다. 엿장수들은 온갖 이념을 휘두르며 시인의 순수한 영혼을 상처입히고 있습니다.

2연

가지도 없고 잎도 없다.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에
새 한 마리 깃들지 않는 이유.
허공은 나의 나라다.
허공은 나의 나라다.
신목의 향기로 가득 찬 나의 나라.

시인의 영혼은 이념의 횡포로 인해 황폐해졌습니다. 가지도 잎도 없는 앙상한 나무처럼 말입니다. 시인은 이러한 현실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허공을 자신의 나라로 삼고 싶어 합니다. 신목의 향기가 가득 찬 그곳에서 시인은 순수한 영혼을 되찾고 싶어 합니다.

3연

원치 않는 깃발과 플래카드들.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에
깃들어 주지만 않는 이유.
앙상한 몸통으로 서서
반역하는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여.

이념의 깃발과 플래카드가 시인의 영혼에 깃들 수 없는 이유는, 그것이 시인의 순수함을 억압하기 때문입니다. 시인은 앙상한 몸통으로 서서 이러한 억압에 맞서 싸우겠다는 의지를 표명합니다.

4연

내 영혼이 소리 죽여 울고 있는 소리.
대장간의 낫, 톱니들.
살벌한 몸통으로 서서
반역하는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여.

시인의 영혼은 이념의 폭력으로 인해 상처입어 울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인은 대장간의 낫과 톱니에 맞서서도 순수성을 지키겠다는 결의를 다집니다.

5연

잎사귀 달린 시, 과일을 나눠 주는 시,
초록과 금빛의 향기를 뿌리는 시.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에 새 한 마리 깃들어라.

시인은 잎사귀가 달리고, 과일을 나누며, 향기를 뿌리는 아름다운 시를 쓸 것을 꿈꿉니다. 이것은 시인이 자유와 순수성을 되찾고자 하는 소망입니다. 시인은 이러한 시에 새가 깃들어주길 바라는데, 이는 자유와 순수성의 날개를 펼치고자 하는 시인의 갈망을 상징합니다.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는 현실의 폭력과 억압에 맞서 순수성과 자유를 지키고자 하는 시인의 의지를 담은 작품입니다. 이 시는 우리에게 자유와 순수성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며, 폭력과 억압에 맞서 싸우는 용기를 북돋아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