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차범석의 희곡 불모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가족해체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차범석의 희곡 불모지
차범석의 희곡 불모지 해석 해설
차범석의 희곡 불모지 해석 해설입니다.
차범석의 희곡 "불모지"
차범석의 희곡 "불모지" (1957)
차범석의 2막 희곡 "불모지"는 1957년 [문학예술]지에 발표되었다. 이 희곡은 차범석의 희곡집 <껍질이 째지는 아픔 없이는> (1961)에 수록되어 있다.
줄거리
혼구 대여점을 운영하는 최노인은 물려받은 고옥에 집착한다. 전통혼례용 혼구를 대여하는 그의 사업이 쇠퇴하자 가족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덜기 위해 집을 팔 것을 권한다. 하지만 최노인은 고집을 꺾지 않는다. 군 제대 후 취업을 기다리는 큰아들 경수, 아들을 염려하는 어머니, 가족의 생계를 떠맡은 차녀 경운, 대학 진학을 앞둔 막내 경재 등 가족들은 모두 최노인을 원망하며 집을 팔 것을 종용한다.
결국 가족들의 종용과 큰아들의 방황을 보다 못한 최노인은 집을 세 놓기로 하지만, 경수가 집을 팔려고 하는 것으로 오해하여 이를 막는다. 최노인은 아들의 행동을 집을 세 놓는 것에 대한 불만의 표시로 여겨 크게 꾸짖는다.
이에 경수는 모든 불화의 원인이 돈에 있다고 생각하여 총을 들고 강도질을 하려다 경찰에 붙들린다. 취업 통지서는 휴지 조각이 되고 만다. 배우를 꿈꾸던 장녀 경애는 사칭범에게 속아 절망에 빠져 자살을 선택한다. 큰아들을 형사들에게 끌려 보낸 후 딸의 시신을 발견한 최노인의 비탄 어린 절규로 극이 끝난다.
주제
근대화 과정에서 겪는 가족의 해체와 가치관의 변화
구세대와 신세대의 갈등
도시화로 인한 정신적, 경제적 황폐화
특징
사실주의 작품으로, 전후 사회의 어두운 현실을 반영한다.
세대 간의 갈등과 비극을 통해 근대화의 대가를 다룬다.
도시의 변화를 배경으로 하여 새로운 것과 오래된 것의 대비를 그린다.
현실적인 대사와 생생한 인물描写를 사용한다.
등장인물
최노인: 전통을 고수하는 옹고집한 노인
어머니: 남편에게 복종하며 자식들을 걱정하는 전형적인 한국 여인
경재: 밝고 긍정적인 막내 아들
경운: 희생적인 차녀, 가족을 부양한다.
경애: 화려한 인생을 꿈꾸는 장녀
경수: 실업 상태이고 아버지를 원망하는 큰아들
구성
발단: 최노인의 집 보존에 대한 집착과 가족의 반대
전개: 자식들의 반항과 좌절
절정: 최노인의 심경 변화와 오해로 인한 갈등
대단원: 자식들의 비극적 파멸
해석
"불모지"는 전후 한국 사회의 변화와 갈등을 깊이 있게 묘사한 작품이다. 최노인 가족의 비극은 새로운 것과 오래된 것의 대립, 세대 간의 격차, 도시화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징한다. 이 희곡은 근대화의 복잡한 현실과 그 대가에 대해 명상하게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