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세붕의 시조 오륜가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4. 13.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주세붕의 시조 오륜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삼강오륜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주세붕의 시조 오륜가

주세붕의 시조 오륜가

 

 

주세붕의 시조 오륜가 해석 해설

주세붕의 시조 오륜가 해석 해설입니다. 

 

주세붕의 시조 오륜가

1수

이 말씀을 모든 사람이 들어야 하지,
이 말씀이 없으면 사람이더라도 사람이 아닐 거야,
이 말씀을 잊지 않고 배우고야 말 것이다. / 삼강오륜을 배우는 이유

2수

아버지께서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께서 나를 키우셨기에,
부모님께서 계시지 않았다면 이 몸도 없었을 거야.
이 은혜를 갚고자 하니 하늘처럼 끝이 없습니다. / 하늘같이 끝없는 부모님의 은덕

3수

종과 주인의 구별을 누가 만들었을까?
벌과 개미가 이런 뜻을 먼저 알고 있지.
한 마음에 다른 생각이 없도록 속이지 마십시오. / 군주에게 충성하는 신하의 자세

4수

남편이 밭을 갈러 가신 곳에 밥을 담은 그릇을 이고 가서,
밥상을 들고 (남편의) 눈썹 높이까지 공손히 들어 바칩니다.
(남편은) 진심으로 감사한 분이시니 (손님을 대하는 것처럼) 어떻게 다를 수 있겠습니까? / 남편을 섬기는 아내의 자세

5수

형님께서 젖을 잡수셨는데 나까지 먹습니다.
아이고, 우리 아우야 어머님이 너를 사랑하신다.
형제 간에 화목하지 못한다면 개나 돼지라 할 것입니다. / 형제 사이의 화목한 태도

6수

늙은이는 부모님 같고, 어른은 형님 같으니,
이들이 계실 때 공손히 대하지 않는다면 (짐승과) 무엇이 다를까요?
나로서는 (노인과 어른들을) 만나면 절하고야 말 것입니다. / 어른을 공경하는 마음과 자세

핵심 요약

 형식: 평시조, 연시조
 성격: 교훈적, 직설적
 주제: 삼강오륜의 유교 윤리 강조
 특징:
     유교적 덕목을 자연물과 비교하여 가르침
     설의적 표현을 사용하여 강조
     삼강오륜을 가족 관계와 연관지어 설명
     제1수는 서사적 역할 수행, 나머지 수는 유교적 덕목 서술

내용 분석

[1] 서사

[2] 부자 유친(父子有親): 처음에 부모의 은혜를 노래하고 끝에 부모의 은혜가 끝이 없음을 강조하여 후대 정철의 훈민가와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음.

[3] 군신 유의(君臣有義): 종은 백성, 상전은 군주를 가리키며, 군신 관계는 하늘이 정한 것이므로 신하는 임금에게 충성해야 함.

[4] 부부 유별(夫婦有別): 아내는 남편을 하늘처럼 공경하고 손님처럼 대해야 함. 중국의 양홍과 맹광의 고사를 인용하여 남편 섬기는 도리를 가르침.

[5] 형제 우애(兄弟友愛): 형제는 한 어머니의 젖을 먹었으므로 화목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짐승과 같음.

[6] 장유 유서(長幼有序): 늙은이와 어른을 부모와 형님처럼 공경해야 함.

이해 및 감상

주세붕의 "오륜가"는 총 6수로 구성된 연시조로, 유교적 이념을 담은 교훈적 시조입니다. 유교의 삼강오륜을 노래하여 부자 유친, 군신 유의, 부부 유별, 형제 우애, 장유 유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오륜가"는 주세붕 이외에도 박인로, 김상용 등에 의해 작곡되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