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조위한의 고전소설 최척전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전쟁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조위한의 고전소설 최척전
조위한의 고전소설 최척전 해석 해설
조위한의 고전소설 최척전 해석 해설입니다.
조위한의 고전 소설, 최척전
줄거리
남원에 사는 최척은 정상사의 집으로 공부하러 다녔다. 어느 날, 옥영이 창틈으로 최척을 엿보고 그에게 마음이 끌려 구애의 시를 써서 보냈다. 그리고 시비 춘생을 보내 답신을 받아 오게 한다. 최척은 춘생을 통해 옥영의 이야기를 듣고 그녀를 사랑하게 되어, 부친의 친구인 정상사에게 혼사를 주선해 줄 것을 부탁한다. 옥영은 이 혼사를 반대하는 어머니를 설득하여 마침내 둘은 약혼을 하게 된다.
혼인 날을 정해 놓고 기다리던 중 왜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남원 지역에 의병이 일어났고 최척도 여기에 참전하게 되었다. 혼인 날짜가 지나도록 최척이 돌아오지 않으므로 옥영의 어머니는 부자의 아들인 양생을 사위로 맞으려 한다. 그러나 옥영은 최척이 돌아올 때를 기다려, 두 사람은 드디어 혼인을 하고 행복한 나날을 보낸다. 이 때 맏아들 몽석이 태어난다.
정유재란으로 남원이 함락되면서, 옥영은 왜병의 포로가 되었고 최척은 흩어진 가족을 찾아 헤매다가 실심한 끝에 명나라 장수 여유문과 형제의 의를 맺고 중국으로 건너가 살게 되었는데, 자신을 매부로 삼으려는 여유문의 요구를 단호하게 거절했다. 한편 일본에 잡혀간 옥영은 계속 남자로 행세하면서 불심이 깊은 왜인을 만나 우여곡절 끝에 상선을 타고 다니면서 장삿일을 돕게 된다.
여러 해가 지나 여유문이 죽자 최척은 항주의 친구 송우와 함께 상선을 타고 여기저기로 떠돌아다니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안남에 배를 타고 갔다가, 상선을 타고 안남까지 오게 된 아내 옥영을 우연히 만나게 된다. 이들은 중국 항주에 정착하여 둘째 아들 몽선을 낳아 가르며 십수 년 간 행복한 생활을 누린다. 몽선이 장성하게 되자 홍도라는 중국 여인과 혼인을 시킨다. 홍도는 임진왜란 때 조선에 출전했다가 실종된 진위경의 딸이었다.
이듬해 호족이 침입하여 최척은 아내와 아들을 이별하고 명나라 군사로 출전하였다가 청군의 포로가 된다. 그는 포로 수용소에서 명나라의 청병으로 강홍립을 따라 조선에서 출전했다가 역시 청군의 포로가 된 맏아들 몽석을 극적으로 만나게 된다. 부자는 함께 수용소를 탈출하여 고향으로 향한다.
한편 옥영은 주도 면밀한 계획을 세워 몽선·홍도와 더불어 천신만고 끝에 고국으로 돌아와 일가가 다시 해후하여 단란한 삶을 누리게 된다.
핵심 정리
연대: 1621년(광해군 13)
갈래: 한문 소설, 단편 소설, 고전 소설, 군담 소설, 영웅 소설
주제: 전쟁으로 인한 슬픔의 재회
특징
유몽인의 <어우야담>에 수록된 <홍도>가 조위한에 의해 소설화된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명·청간의 세력교체를 배경으로 하여 조선·일본·중국·만주간을 연결하는 최척과 옥영·몽선·몽석과 홍도의 이별·재회의 구성법이 고전 소설의 참신한 맛을 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