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n제 중 정지용의 시 바다2=바다9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n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바다의 모습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정지용의 시 바다2 바다9
정지용의 시, 바다2(<시원>1935.12)
바다는 뿔뿔이
달아나려고 했다.
푸른 도마뱀 떼같이
재재발렀다.
꼬리가 이루
잡히지 않았다.
흰 발톱에 찢긴
산호(珊瑚)보다 붉고 슬픈 생채기!
가까스로 몰아다 부치고
변죽을 둘러 손질하여 물기를 씻었다.
이 애쓴 해도(海圖)에
손을 씻고 떼었다.
찰찰 넘치도록
돌돌 구르도록(음성상징을 통해 충만하고 경쾌한 바다를 제시하고 있음)
휘동그란히 받쳐 들었다!
지구(地球)는 연(蓮)잎인 양 오므라들고 …… 펴고 …….
* 재재발렀다기본형: 재바르다(사뭇 재치있고 빠르다)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감각적 묘사적
▶제재 : 바다
▶주제 : 바다의 활기찬 모습
▲비유적 의미 파악
푸른 도마뱀 떼잔물결
붉고 슬픈 생채기파도에 씻긴 해안선
변죽을 둘러 손질하여 물기를 씻었다해안의 곡선
손을 씻고 떼었다.드러난 해안
지구는 연잎인 양 오므라 들고 ...펴고...물결의 넘나듦
이해와 감상
<바다> 연작시 10여편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이 작품은 정지용의 초기시 특징의 하나인 선명한 이미지 제시를 위한 시작 방법을 엿볼 수 있다. 지용은 여러 감각적 이미지 중 시각적 이미지를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또한 그 이미지를 직조해 내기 위해 직유법을 즐겼다. 그리고 직유에 사용된 보조 관념(vehicle)은 동물계의 자연물이 많이 등장한다. 이렇게 그가 직유를 즐기고 동물계 보조 관념을 많이 사용한 까닭은 움직이는 상태, 즉 동적 세계를 형상화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정지해 있지 않고 부단히 움직이는 세계는 외부로 열려진 세계이고 밖으로 확산되는 세계이다. 그렇다면 그가 <바다>라는 연작시에 집착했던 이유는 보다 분명해진다. 결국 바다는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에서 볼 수 있었던 것처럼, 개화기부터 일제하에 이르기까지 서구에 대한 동경과 새로운 것의 갈망이라는 지식인들의 정신 편향을 드러내는 상징적 사물로 지용에게도 역시 예외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파도가 밀려오는 푸른 바다의 모습을 놀랄 만큼 신선하고 신비로운 이미지로 제시하고 있는 이 시는 1~4연의 앞 단락에서는 바다의 역동적 모습을, 5~8연의 뒷 단락에서는 해안선까지 확대된 시인의 시선을 통해 바다를 총체적으로 관찰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먼저 끊임없이 밀려왔다가 밀려가는 파도의 모습을 뿔뿔이 / 달아나려고로, 파도가 뭍에 부딪쳐 흩어지는 모습을 푸른 도마뱀 떼로, 꼬리가 이루 / 잡히지 않을 만큼 빠른 파도의 움직임을 재재발렀다로, 하얗게 부서지는 포말(泡沫)을 흰 발톱으로 형상화함으로써 바다를 투시하던 시인의 혜안(慧眼)은 아득히 먼 곳으로부터 달려왔다가 해변에 이르러 하얗게 부서져 쓰러지는 파도의 기진한 모습에서 산호보다 붉고 슬픈 생채기!를 발견하게 된다. 따라서 바다가 가까스로 몰아다 부치고 / 변죽을 둘러 손질하여 물기를 씻는 것으로 생각하는 시인은 마침내 자신의 상상으로 조형한 해도(海圖)를 총체적으로 그려 보여 준다. 찰찰과 돌돌이라는 첩어를 통해 충만하고 경쾌한 바다를 제시하는 한편, 바다에 둘러싸인 지구를 바다가 지구를 떠받들고 있는 것으로, 또한 바다에 둘러싸인 지구가 마치 연잎처럼 오므라들기도 펴지기도 하는 것으로 해도를 그리는 데까지 나아간다. 이렇게 하여 바다에 대한 단순한 인식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인은 바다와 하나가 된 무아경(無我境)의 세계에서 바다를 응시함으로써 바다에서 도마뱀을 찾아내고 꼬리와 흰 발톱, 나아가 육지를 떠받들고 있는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기에 이른 것이다. <양승준, 양승국 공저 [한국현대시 400선이해와 감상]>
더 알아보기
▲정지용의 바위2와 박남수의 아침이미지에서 시창작 시 시인의 공통적으로 지닌 태도
둘 다 이미지즘의 성격을 구현한 작품으로 오직 대상을 즉물적인 관찰을 객관적 이미지로 그려내고 있다. 시인의 목적은 독자에게 사물의 신선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데 있다.
▲김춘수의 시,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과 연관지어 살필 필요 있음(선명한 시각적 이지미를 제시하여 시상을 전개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