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작자 미상의 판소리 흥보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형제간 우애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작자 미상의 판소리 흥보가
작자 미상의 판소리 흥보가 해석 해설
작자 미상의 판소리 흥보가 해석 해설입니다.
흥보가
줄거리
흥부와 놀부라는 형제가 있었는데, 흥부는 선량하고 가난했고, 놀부는 욕심쟁이로 부자였다. 어느 날 흥부는 다친 제비를 집어다가 다리를 고쳐 주었다. 제비는 고마워하며 흥부에게 박씨를 주었고, 그 박씨에서 나온 보물 덕분에 흥부는 부자가 되었다. 이를 안 놀부는 제비의 다리를 깠다가 고쳐 주어 박씨를 구했지만, 그 속에서 나온 것은 흥부의 박씨에서 나온 것과는 달랐다. 놀부의 박씨에서 나온 것은 상놈과 무당, 거지 등이었고, 그들은 놀부의 모든 재산을 탕진시켜 버렸다.
핵심 정리
갈래: 판소리 사설
성격: 풍자적, 해학적
배경:
시간적: 조선 후기
공간적: 충청, 전라, 경상도가 만나는 지역
주제:
흥부의 선량함: 형제 간의 우애
놀부의 악함: 특권층에 대한 서민층의 승리
갈등: 농촌 빈민층과 반사회적 지주 계급의 갈등
문학사적 위치: 근대 시민 사회로의 이행에서 중요한 전범
판소리 사설의 특징: 몰입과 소격
표현상의 특징:
생생한 구어체
사실적이고 해학적인 묘사
대조와 과장 수법
노래, 이야기, 연극 요소의 결합
등장인물
흥부: 선량하고 정직한 농민
흥부 처: 흥부와 마찬가지로 선량하지만 현실적
놀부: 욕심쟁이 지주
놀부 처: 놀부와 같은 성격
째보: 현실에 빠르게 적응하는 서민
연구 문제
판소리 사설의 서사적 구성 원리
박씨에 의한 제비의 보은에 대한 현실적 해석
이해와 감상
흥보가는 서민들의 삶과 풍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으로, 서민들의 의식과 불평등에 대한 비판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저속한 재담과 해학적 요소가 풍부하여 서민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더 알아보기
흥보가의 박타는 장면
박타는 장면은 흥보가의 절정으로, 서민들에게 대리 만족과 쾌감을 제공한다. 흥보의 박씨에서 쏟아져 나오는 물건들은 서민들의 최소한의 욕구와 꿈을 반영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