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 두터비 파리를 물고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양반 허장성세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 두터비 파리를 물고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 두터비 파리를 물고 해석 해설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 두터비 파리를 물고 해석 해설입니다.
두꺼비가 파리를 물고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 두꺼비 파리를 물고∼(청구영언(靑丘永言))
시문
두터비 파리를 물고 두엄 우희 치다라 안자
건넌산 바라보니 백송골(白松鶻)이 떠잇거늘 가슴이 금즉하여 풀덕 뛰여 내닷다가 두엄 아래 잣바지거고
모쳐라 날낸 낼싀만졍 에헐질번하괘라.
풀이
어느 날, 두꺼비가 파리를 물고 두엄 위로 달려 올라 앉아 있었다.
건너편 산을 바라보니, 하얀 송골매가 날아다니고 있는 것이 보였다.
두꺼비는 가슴이 섬뜩해져서 펄쩍 뛰어 내렸지만, 두엄 아래로 떨어져 굴러떨어졌다.
다행히도 나이가 어려서 다치지 않았지만, 멍이 들 뻔했다.
시어의 상징성
두꺼비: 서민과 권력자 사이의 중간 계층
파리: 약한 서민
백송골(흰 송골매): 강력한 권력자
핵심 정리
주제: 두꺼비가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함으로써 양반의 위선을 비판
성격: 풍자적, 우의적, 해학적
표현상의 특징: 화자가 바뀌며, 풍자와 우의의 수법을 사용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사설시조로, 하급 관리의 실수를 합리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파리는 무력한 서민을, 두꺼비는 부패한 관리를 상징한다. 그리고 백송골은 관리보다 더 높은 권력자를 비유한 것이다.
즉, 이 작품은 인간 사회의 계층 구조와 부패를 동물의 먹이 사슬로 풍자하고 있다. 자신보다 강한 자에게는 꼼짝 못하면서도 자신을 위로하는 관리의 모습이 위선적임을 드러낸다.
이 작품은 세 계층의 상호 관계를 통해 당대 관리들의 부패상을 은근히 비꼬는 우수한 작품이다.
관련 한자성어
허장성세(虛張聲勢): 실력이 없는데 자신을 과시하는 것
약육강식(弱肉强食): 약한 자는 강한 자에게 잡아먹히는 것
자화자찬(自畵自讚): 자기 자신을 칭찬하는 것
더 알아보기
출제 내역: 2010년 6월 평가원 모의수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