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박씨전(2009대수능)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3. 5. 28.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수능완성 중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박씨전(2009대수능)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완성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국난극복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박씨전(2009대수능)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박씨전(2009대수능)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박씨전(2009대수능) 해석 해설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박씨전(2009대수능) 해석 해설입니다.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박씨전(2009대수능)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박씨전(朴氏傳)

줄거리
조선 인조 때 서울 안국방(安國坊)에서 태어난 이시백은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고 문무를 겸전하여 명망이 조야에 떨쳤다. 아버지 이 상공이 주객으로 지내던 박 처사의 청혼을 받아들여 시백은 박 처사의 딸과 가연을 맺게 된다. 그러나 시백은 신부의 용모가 천하의 박색임을 알고 실망하여 박씨를 대면조차 하지 않는다. 박씨는 이 공에게 청하여 후원에 피화당(避禍堂)을 짓고 여기에서 소일한다. 박씨는 자신의 여러 가지 신이한 일을 드러내 보이지만 시백은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박씨가 시기가 되어 허물을 벗고, 절대가인이 되자, 시백은 크게 기뻐하며 박씨의 뜻을 그대로 따른다. 이 때 중국의 가달(可達)이 용골대 형제에게 삼만의 병사를 거느리고 조선을 침략하게 하였다. 그러나 박씨는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오랑캐의 목적을 분쇄한다. 박씨와 이시백은 국난(國難)을 극복하고 행복한 여생을 보낸다.

핵심정리
▶연대 : 미상(18세기 이후)
▶갈래 : 역사소설, 군담소설, 여걸소설, 도술소설
▶성격 : 역사적, 비현실적, 전기적(grotesque)
▶문체 : 운문체, 역어체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표현 : 변신 모티프
▶배경 : 시대적 배경은 조선 인조 때 병자호란 직후, 공간적 배경은 조선 한양 대궐문 밖 안국방 
▶제재 : 병자호란
▶주제 : 청나라에 대한 적개심과 복수심
▶특징 : ① 변신 모티프(박색→(변신)→절색) ② 병자호란의 패배를 문학적으로 보상받고자 하는 심리 반영 ③ 여성의 영웅적 기상과 재주를 주제로 함.
▶의의 : 병자 호란을 배경으로 한 작자, 연대 미상의 군담 소설로, 여성 영웅을 주인공으로 설정하고, 여성의 시련 과정을 보여준 소설로 역사적 사실에 바탕하여 허구적으로 재구성한 작품으로 이시백의 아내 박씨는 영웅적 기상과 재주로 호왕과 적장을 농락하고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한다.

등장 인물의 성격 :
① 박씨 부인 : 이시백(李時白)의 아내. 천하의 박색이었으나 자신의 판단과 결심에 따라 행동하는 능동적 성품을 지닌 여인(→자유롭지 못했던 당시 여성들에게 정신적인 위안). 영웅적 기상과 재주로 호왕(胡王)과 적장을 농락하고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한 애국적인 여인
② 이시백 : 작품의 초반에 소개된 것과는 다르게 여자의 현숙한 덕보다는 미색을 추구하는 평범한 인물로 들어남 

이해와 감상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한 작품을 읽기 위해서 그 역사적 사건에 대한 예비적 지식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병자호란은 조선 인조 14년에 청(淸)이 침입하여 군신의 예를 강요한 치욕적 사건이다. 인조(仁祖)는 삼전도(三田渡)에서 굴욕적인 항복의 예를 갖추었는데, 현실에서의 패배를 문학적으로 보상받고자 하는 심리가 박씨전이나 임경업전으로 나타났다.
박씨전은 전반부의 가정 내의 갈등과 후반부의 사회적 갈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전반부의 갈등에서 박씨는 자신의 추한 용모 때문에 생기는 시련을 탁월한 능력으로 극복한다. 후반부에서 무력한 남성들과 정면 대결에서 승리하며, 자신의 탁월한 능력으로 호장에게 복수를 하며, 실제 전쟁에서 진 패배감을 정신적 승리로 보상한다.
박씨전은 자유롭지 못했던 당시의 여성들에게 정신적인 위안을 주었다. 역사상의 실제인 병자호란과 실제 인물 이시백을 등장시켜 현실감을 주고, 유능한 여성 박씨의 변신과 도술을 통해 무능한 위정자들과 남성들을 은근히 비판하여 여성 독자들을 흐뭇하게 한 점은 여성의 지위 향상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14 인터넷수능 문학
2013 인터넷수능 문학
2009학년도 대수능출제
2008년 ebs파이널
2006년 6월 1학년 학업성취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