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 상저가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3. 6. 4.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인터넷수능 중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 상저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수능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효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 상저가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 상저가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 상저가 해석 해설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 상저가 해석 해설입니다.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 상저가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 상저가(相杵歌)<시용향악보>

<현대어역>
덜커덩 방아나 찧어 히예
거친 밥이나 지어 히얘
아버님 어머님께 바치옵고 히야해
남거든 내 먹으리 히야해 히야해

핵심정리
▶연대 : 고려(구체적 연대 미상)
▶형식 : 고려속요, 비연시(非聯詩), 노동요
▶의의 : 고려 속요 중 유일한 노동요.
▶주제 : 효심(孝心), 부모를 위하는 시골 아녀자의 생활 감정

이해와 감상
이 노래는 일종의 노동요로, 부모를 위하여 찧는 고려 시대 여성의 정경이 눈에 선하다. 특히 방아찧는 소리의 의성에서 시작한 이 노래는 히얘하는 메김 소리의 중복으로 숨을 돌리며 일하는 노동의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거친 밥이나마 지어 부모님께 드리고, 남는 것이 있으면 그것을 자기가 먹겠다는 가난한 서민의 효심이 나타나 있고, 촌부의 소박한 마음을 읽을 수 있다

더 알아보기
<백결선생(百結先生)>

출제목록
2015ebs인터넷수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