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이신의의 연시조 사우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사우의 지조와 절개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이신의의 연시조 사우가
이신의의 연시조 사우가 해석 해설
이신의의 연시조 사우가 해석 해설입니다.
이신의 연시조, 사우가
서론
이신의의 사우가는 조선시대 중기의 연시조로, 소나무, 국화, 매화, 대나무의 고결한 덕성을 찬양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이신이가 유배 중에 지었으며, 당시의 혼란스러운 정치적 상황에 대한 그의 심정이 담겨 있습니다.
1수: 소나무
바회예 셧는 솔이 늠연(凜然)한 것이 반가온뎌.
풍상(風霜)을 겪어도 여위는 줄 전혀 없다.
엇지타 봄빛을 가져 고칠 줄 모르느냐 / 풍상(風霜)에도 변함없는 솔의 모습
해석:
바위에 서 있는 솔나무가 위엄 있고 당당한 것이 기쁘구나.
세월의 풍상을 겪어도 조금도 시들지 않는구나.
어찌하여 항상 봄빛 같은 푸르름을 간직하고 있느냐.
분석:
소나무는 꿋꿋한 기상과 변함없는 지조를 상징합니다.
"봄빛"은 소나무의 푸른 빛을 의미하는 은유입니다.
이 연에서는 소나무의 강인함과 불변성을 찬양하고 있습니다.
2수: 국화
동리(東籬)의 심은 국화(菊花) 귀(貴)한 줄 뉘 아느냐.
춘광(春光)을 번폐하고 엄상(嚴霜)에 혼자 퓌니
어즈버 청고(淸高)한 내 벗이 다만 녠가 하노라. / 엄상(嚴霜)에도 혼자 피는 청고(淸高)한 국화의 모습
해석:
울타리에 심은 국화가 귀한 줄 누가 알겠는가.
따뜻한 봄빛을 마다하고 추운 서리 속에서도 혼자 핀다.
어찌하여 그처럼 청고하고 고결한 나의 벗이 된 것일까.
분석:
국화는 고결함과 인내를 상징합니다.
"엄상"은 가혹한 환경을 의미하는 은유입니다.
이 연에서는 국화의 청렴함과 의리를 찬양하고 있습니다.
3수: 매화
꽃이 무한(無限)하되 매화(梅花)를 심근 뜻은
눈 속에 꽃이 퓌여 한 빛인 것이 귀(貴)하도다.
하물며 그윽한 향기(香氣)는 아니 귀(貴)코 어이리. / 눈 속에 피는 강인함과 그윽한 향기를 지닌 매화의 모습
해석:
꽃은 수없이 많지만, 매화를 심는 것은
눈 속에서도 흰 꽃을 피우는 것이 소중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윽한 향기도 역시 귀중하지 않은가.
분석:
매화는 강인함과 청렴함을 상징합니다.
"눈"은 어려움과 시련을 의미하는 은유입니다.
이 연에서는 매화의 인내력과 순수함을 찬양하고 있습니다.
4수: 대나무
백설(白雪)이 잦은 날에 대를 보려 창(窓)을 여니
온갖 꽃 간데 없고 대숲이 푸르러셰라.
엇디한 청풍(淸風)을 반겨 흔덕흔덕 하느냐. / 백설(白雪)에도 푸른 대나무의 모습
해석:
폭설이 자주 내리는 날 창문을 열고 대나무를 보니
온갖 꽃은 사라졌고, 대숲만이 푸르게 빛난다.
어찌하여 그처럼 맑은 바람을 반기며 흔들거리는가.
분석:
대나무는 곧고 꿋꿋함을 상징합니다.
"백설"은 어려움과 시련을 의미하는 은유입니다.
이 연에서는 대나무의 강인함과 불굴의 정신을 찬양하고 있습니다.
결론
이신의의 사우가는 소나무, 국화, 매화, 대나무의 고결한 덕성을 찬양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을 통해 이신은 당시의 혼란스러운 정치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선비가 지켜야 할 절의와 도덕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