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동주의 시 강강술래 해석 해설 주제 특징 핵심 정리

by bloggerkim3 2024. 3. 8.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이동주의 시 강강술래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한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이동주의 시 강강술래

이동주의 시 강강술래

 

 

 이동주의 시 강강술래 해석 해설

 이동주의 시 강강술래 해석 해설입니다.







이동주의 시, 강강술래


이동주의 시, 강강술래(시집 <강강술래>1955)

여울에 몰린 은어(銀魚) 떼.

삐비꽃 손들이 둘레를 짜면
달무리가 비잉 빙 돈다.

가아응 가아응 수우워얼래애
목을 빼면 설움이 솟고 ……

백장미(白薔薇) 밭에
공작(孔雀)이 취했다.

뛰자 뛰자 뛰어나 보자.
강강술래.

뇌누리*에 테이프가 감긴다.
열두 발 상모*가 마구 돈다.

달빛이 배이면 술보다 독한 것.

기폭(旗幅)이 찢어진다.
갈대가 스러진다.

강강술래.
강강술래.

*삐비꽃 : 표준어로 삘기라 함. 띠의 어린 순. 띠는 원추형으로 자라며 그 밑동이 모여 있어 옹기종기 가지가 올라온다. 여기
서는 강강술래를 하려고 둥글게 형태를 짠 여인들의 모습을 표현한 말.
*뇌누리 : ①물살, ②소용돌이의 옛말.
*상모 : 농악할 때 벙거지 꼭지에다 열두 발 긴 백지 오리를 붙인 것.
*여울에 몰린 은어 떼 : 강강술래를 추려는 여인들의 모습을 비유
*가아응 가아응 수우워얼래에 : 일단 흥에 겨운 가락이 생겨나면서 춤의 정경이 눈에 선하게 다가온다. 또 시각적으로도 원무
를 추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백장미 밭 : 달빛이 은은하게 비치는 마당.
*공작 : 춤추는 여인들의 모습
*뇌누리에 테이프가 감긴다 : 강강술래가 진행되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구절
*달빛에 배이면 술보다 독한 것 : 시각, 촉각, 미각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달빛 아래에서 오랜 시간 강강술래를 하다 보면, 술에 
취한 것보다 더 깊은 몰입의 경지에 다다를 수 있음을 감각적으로 표현.

핵심정리
▶ 감상의 초점
우리 전통 민속춤 강강술래를 소재로 한 시다. 시각적 심상과 청각적 심상이 조화를 이루고, 서로 손잡고 춤추는 여인들의 모습을 은어 떼, 달무리, 공작 등에 비유하여 환상적인 아름다움을 연출해 낸다. 또한, 유장한 가락에서 시작하여 점차 급박한 호흡으로 이어지는 합창과 느린 동작에서 급격한 움직임으로 발전하는 춤사위가 점층적으로 그려지면서 강렬한 역동성을 보여 준다.
▶ 심상 : 청각적, 시각적(회화적) 심상
▶ 어조 : 생동감 있는 민속춤을 바라보는 활력적인 어조와 애상적 어조의 융합
▶ 표현 : 간결한 묘사로 긴장감을 고조시킴
▶ 시상 전개 : 춤을 추기 전에 모여 있는 모습에서 점차 빠르게 돌아가는 춤사위를 추보식으로 묘사함.
▶ 구성 : ① 춤 추기 위해 모여 있는 여인들(제1연)
② 느리게 시작되는 원무(제2연)
③ 유장한 가락과 한의 정서(제3연)
④ 춤추는 여인들의 환상적 모습(제4연)
⑤ 점차 빨라지는 호흡과 율동(제5연)
⑥ 격렬하게 돌아가는 춤사위와 농악대의 빠른 몸놀림(제6연)
⑦ 자연과 인간의 합일(제7연)
⑧ 격렬한 춤사위(제8연)
⑨ 한껏 고조된 노래와 춤사위(제9연)
▶ 제재 : 전통적 민속춤인 강강술래와 농악
▶ 주제 : 강강술래를 통해 느끼는 전통적 한의 정서

연구문제
1. 이 시는 민속 원무(圓舞)인 강강술래의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군무(群舞)의 상태를 은유로 표현한 두 시행을 찾아 쓰라.
▶ 여울에 몰린 은어 떼, 삐비꽃 손들이 둘레를 짜면
2. 다음 각 물음에 해당되는 연을 숫자로 쓰라.
(1) 강강술래를 전통적인 한의 정서와 접맥시킨 연은?  (제3연)
(2) 도취적인 요소가 나타난 두 연은?  (제4연과 제7연)
(3) 강강술래의 전무적(戰舞的) 성격을 엿볼 수 있는 연은?  (제8연)
3. (1)전통적 춤을 소재로 한 이 시에 어울리지 않는 단어를 찾고, (2)그것이 부적합한 이유를 설명하라.
▶ (1) 백장미, 공작, 테이프, (2) 이러한 단어들이 주는 느낌이 다분히 서구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이해와 감상
이 시는 남해안 지방에 전해 내려오는 민속춤인 강강술래를 제재로 하여 시각적인 회화성과 청각적인 음악성을 교묘하게 배합하여 민족적인 고전미와 삶의 애환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다. 집단 원무(集團圓舞)를 추고 있는 처녀들의 공동성(共同性)과 도취성, 그리고 역동성(力動性)을 그린 이 시를 읽고 있노라면 마치 꿈과 현실이 한 자리에 어울려 있는 듯한 환상적 느낌에 빠져들게 된다.
1․2연은 장면의 제시 부분으로 춤을 추기 위해 모여든 처녀들을 은어 떼에 비유하고 있으며, 춤추기 시작한 모습을 달무리가 비잉빙 도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3․4연은 춤추는 처녀들의 감정의 전개 부분으로서 아직은 정적(靜的)이고 완만한 호흡이다. 3연에서는 강강술래에 나타난 민족적 정한(情恨)을, 4연에서는 백장미로 제시된 달빛 하얗게 내려 비치는 뜰에서 공작처럼 춤을 추는 처녀들의 화려한 모습을 환상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5․6연은 숨가쁘게 진행되는 춤동작으로 감정의 고조 부분이 되며, 7․8연은 달빛에 취해 무아경(無我境)에 빠져 춤추는 모습으로서 감정의 절정 부분이 된다. 마지막 9연은 한껏 고조된 노래와 춤사위를 통해 혼연일체가 된 모습으로, 앞에서 보여 주던 느린 리듬감이 동적(動的)이고 긴박한 호흡으로 변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양승준, 양승국 공저 [한국현대시 400선이해와 감상]>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15 ebs 수능특강 b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