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동순의 시 개밥풀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4. 7.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완성 중 이동순의 시 개밥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완성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민중의 모습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이동순의 시 개밥풀

이동순의 시 개밥풀

 

 

이동순의 시 개밥풀 해석 해설

이동순의 시 개밥풀 해석 해설입니다. 

 

이동순의 시, 개밥풀

밤중에 홀연히 깨어나

방게 물장군 : 민중을 위협하는 잠재적 힘(시련 고통)
큰비, 장강, 장마 : 민중을 억압하는 부당한 권력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의지적, 비유적
 제재: 개밥풀
 주제: 억압받고 있는 민중의 비애와 끈질긴 생명력
 특징: 개밥풀을 의인화하여 민중의 모습을 형상화함.
개밥풀의 한해살이를 계절의 흐름에 따라 표현하여 민중의 강인한 생명력을 노래함.
시의 중간 부분에서 화자가 개밥풀과 동일시됨.

이해와 감상

이 시의 화자는 분리되어 있다. 전반부는 관찰자의 시선으로 개밥풀이란 수생식물의 생태를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후반부에 들면, 관찰자의 관찰에 응답이라도 하듯, 개밥풀 자신의 목소리로 한 떼의 여리고 작은 이파리들의 헌신을 노래한다. 여름에서 가을로, 다시 겨울로 이어지는 계절의 변화 안에서, 그들이 어떻게 몸을 부리며, 마침내 어떻게, 그리고 왜 논바닥에 말라붙는지를 노래한다. 물론, 이 개밥풀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유추의 원형질은 민중이다. 김수영의 '풀'보다 더욱 미천하고 더욱 낮은 대상에까지 천착하여 형상화함으로써, 이 땅을 살아가는 이름 없는 무지렁이 민중들과 그들 민중의 삶 구석구석에 연결된 자그마한 살아있는 모든 것이 얼마나 견고하게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들은 단지 헌신과 희생의 속성만이 연결될 뿐만 아니라, 자잘한 생태적 순환들까지도 완벽하게 일체가 됨으로써, 자연의 순환 안에서 살아가는 모든 존재들의 긴밀한 유대와 삶의 동일성을 여지없이 드러내 보이는 것이다.

"자연으로부터 삶의 지혜를 배운다"는 말이 있다. 이 간명한 명제야말로, 시적 상상력을 튼실하게 받치고 있는 또 다른 한 축인 것이다. 느티나무, 오징어, 개밥풀 등, 이 모든 세상을 구성하는 존재들로부터, 이 세상을 구성하는 다만 또 다른 하나의 존재에 불과한 인간들이 삶의 철학과 방법을 배운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위의 명제를 "존재하는 모든 것으로부터 삶을 배운다"라고 수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더 알아보기

출제 목록

2016년 수능 완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