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강백의 희곡 느낌 극락같은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3. 26.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이강백의 희곡 느낌 극락같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종교적구원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이강백의 희곡 느낌 극락같은

이강백의 희곡 느낌 극락같은

 

 

이강백의 희곡 느낌 극락같은 해석 해설

이강백의 희곡 느낌 극락같은 해석 해설입니다. 

 

이강백의 희곡, 감동의 극락

줄거리

희곡의 막이 오르면 서연의 장례식장에서 함이정과 그녀의 아들 조숭인이 대화를 나누며 과거를 회상한다. 서연과 동연은 불상 제작자 함묘진의 제자로, 뛰어난 재능을 갖추고 스승의 딸 함이정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그러나 두 제자는 점차 불상 제작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으로 갈등을 일으킨다. 동연은 완벽한 형태에 집착하는 반면, 서연은 형태 속에 부처의 마음이 담겨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갈등 끝에 서연은 형식에 대한 집착에 괴로워하며 진정한 부처의 마음을 찾아 길을 떠난다. 한편 함묘진은 몸이 마비됨에 따라 자신의 불상이 공허함을 채워주지 못한다며 고민에 빠진다. 동연은 명성을 얻지만 스승과 서연에 대한 불만과 경쟁심에 시달린다. 결국 동연은 함이정을 범하고 함묘진의 후계자가 된다.

시간이 흐르며 함묘진은 과거를 회한하고 동연과 갈등을 빚으며 동연이 자신의 작업실 출입을 금지시킨다. 잠긴 문을 열려고 하던 함묘진은 사고로 죽게 된다. 함이정은 서연과의 행복했던 추억을 회상하며 서연을 찾아 떠난다. 조숭인은 아버지 동연과 정신적 아버지 서연 사이에서 갈등하며 음악가가 되어 두 아버지의 갈등을 조화시키고자 한다.

서연은 함이정에게 자신의 가치관을 포기하고 헤맸던 때에 함이정의 이름으로부터 행복감을 느꼈다고 밝힌다. 그들은 돌과 물을 사용하여 극락의 표시로 여러 곳에 불상을 만든다. 서연의 죽음 소식을 듣고 조숭인은 어머니 함이정을 찾아 그녀로부터 극락의 느낌을 깨닫게 된다.

핵심

 장르: 희곡, 희극, 장막극
 성격: 실험적, 상징적, 환상적, 비논리적, 비현실적
 주제: 예술의 본질적 가치에 대한 깨달음, 보이지 않는 가치의 진실성, 종교적 구원
 특징:
     이데올로기적 대립을 탐구하는 갈등하는 가치관
     사물의 본질을 느낄 수 있는 마음가짐의 중요성 강조
     시간과 공간적 제약을 초월한 사건 전개

구성

 역순행적 구성과 극중극의 형식
 무대 조명이 장면 전환의 역할을 함

등장인물

 함묘진: 불상 제작의 거장, 동연과 서연의 스승, 동연을 후계자로 생각
 동연: 불상의 완벽한 형태에 집착하는 형식론자, 함이정을 범하고 함묘진의 후계자가 됨
 서연: 부처의 마음을 담은 불상을 추구하는 내용론자, 기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음
 함이정: 함묘진의 딸, 동연에게 범해져 조숭인을 낳음, 서연과 함께 극락을 추구함
 조숭인: 함이정의 아들, 음악가가 되어 두 아버지의 갈등을 조화시킴

이해와 감상

이 작품에서 이강백은 예술의 형식과 내용을 탐구한다. 등장인물들은 각각 형식, 내용, 또는 둘의 조화를 추구한다. 동연과 서연의 갈등은 형식과 내용 간의 대립을 상징한다.

그러나 작가는 한쪽만 강조하지 않는다. 함이정이 동연을 떠나 서연에게 가고, 조숭인이 음악가가 되기로 결심하고, 동연이 병약해지는 것은 형식보다 내용이 중요함을 시사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

이강백이 전달하고자 하는 것은 형식과 내용 중 어느 한 쪽에 치우치면 극락 같은 행복감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이다. 느낌, 극락 같은은 다양한 경험을 통해 형식과 내용에 얽매이지 않을 때 느낄 수 있는 과정이다.

이 작품은 신화적인 요소를 강하게 드러낸다. 과거, 현재, 미래가 병렬 처리되며, 미래에 태어날 조숭인이 현재에 개입하는 장면은 이강백의 신화적 상상력을 보여준다. 서연이 깨달음을 얻고 돌부처를 만들며 죽는 것은 완성된 예술가이자 종교인으로서 신화적 주인공의 탄생을 의미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