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수능완성 중 이강백의 희곡 결혼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완성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소유, 사랑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이강백의 희곡 결혼
이강백의 희곡 결혼 해석 해설
이강백의 희곡 결혼 해석 해설입니다.
이강백의 희곡, 결혼
이강백의 희곡, 결혼<자유극장 1974>
줄거리
가진 것이 거의 없는 남자가 갑자기 외로움을 느끼게 되고 결혼을 하고 싶어졌다. 그러나 가진 게 아무것도 없는 그와 결혼해 줄 여자는 없었다. 그래서 도박을 한번 해 보기로 결심하고 가진 것을 모두 털어 자신을 부유하고 화려하게 보이게 해 줄 물건들을 빌린다. 그런 준비를 해 놓고 결혼 상대자로 생각한 여자를 초대한다. 그런데 물건을 빌릴 때 붙었던 조건에 따라 일정 시간이 되면 물건들을 내놓아야 했고, 냉혹한 하인은 어김없이 물건들을 회수해 간다. 빌렸던 물건들은 하나둘씩 없어지고 급기야 집까지 내놓아야 할 지경에 이르게 된다. 그제야 상대 여자는 남자의 사기극을 알게 되지만 마지막 남은 남자의 진심을 믿게 되고 그와의 결혼을 약속한다.
핵심정리
▶시대 : 1970년대
▶구성 : 단막극
▶제재 : 결혼
▶주제 : 소유의 본질과 사랑의 의미
▶출전 : 자유극장 (1974)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전통적인 희곡의 기법에서 벗어나 실험적인 기법으로 창작된 단막극이다. 특별한 무대 장치도 없고 관객과 무대의 명확한 구분도 없다. 또한 필요한 소품도 관객으로부터 빌려오는 방식으로 관객의 참여를 유도한다. 구성도 이야기책 속의 사건을 극중의 현실로 바꾸어 관객에게 상황을 설명하는 독특한 방식을 취하고 있다. 더불어 다양한 장치를 이용해 한정된 시간 안에 결혼을 해야 하는 남자의 성공담을 풀어나가고 있다. 작가는 결혼이라는 소재를 통하여 세상의 모든 것이 처음부터 누군가에 빌린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주제 의식을 전달하려고 한다.
<결혼>의 주제의식 : 이강백 <결혼>의 주제의식을 소유의 본질적 의미와 진정한 사랑이라고 할 때 남자 주인공의 행위는 이 두 가지를 기준으로 평가 할 수 있다.
우선 <결혼>에서 역설하려는 소유의 본질적 의미는,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 가지게 되는 모든 것은 본래 자기의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여 모든 생명체는 자신의 삶조차도 그 어떤 것으로부터 빌려온 것에 불과하며 단지 주어진 시간 속에서 그 시간의 지배를 받으며 살아가다 자신의 삶마저 버려야 하는 존재인 것이다. 결국 우리가 소유할 수 있는 대상 자체가 없으므로 무기력하거나 염세적 또는 이기적으로 살아가서는 안 되며 주어진 시간과 삶은 누군가로부터 빌린 것이므로 이를 소중하고 성실하게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역설하는 것이다. 남자는 자신이 부자처럼 보일 수 있는 물건을 빌리지만 정해진 시간이 되면 하인으로부터 그것들을 하나씩 빼앗기고 마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소유의 본질에 대한 깨달음이 전달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결혼>에서 말하는 진정한 사랑의 의미는 상대에 대한 신뢰와 헌신적 사랑이다. 작품에서 사기꾼인 남자는 자신의 모습을 감추고 빌린 물건으로 부자 행세를 하며 여자를 속이고 사랑을 갈구한다. 그러나 이마저도 정해진 시간이 되면 하인에게 모두 빼앗기고 빈털터리가 되어 그의 거짓된 모습이 드러나게 되는데 바로 이 지점에서 남자의 진실하지 못한 사랑에 대한 비판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소유의 과시는 비록 남자의 행위로 표면화되고 있기는 하지만 여자 또한 사랑의 기준이 남자에 대한 물질적 호감이었다는 점에서 남자와 더불어 그 비판을 피해가기 어렵다. 이러한 남자와 여자의 행위는 단순히 어느 특수한 개별 남녀가 지니는 사랑에 대한 개성적 인식이 아니라 이 사회를 살아가는 모든 남녀로 일반화 시킬 수 있으며 작가는 이를 통해서 또 하나의 주제의식을 표면화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 속에는 우리 사회에 보편화된 물질만능주의적 세태와 이에 대한 비판적 인식 바탕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14 수능완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