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윤선도의 시조 견회요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연군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윤선도의 시조 견회요
윤선도의 시조 견회요 해석 해설
윤선도의 시조 견회요 해석 해설입니다.
네이버 뉴스 기사
윤선도의 시조, '견회요'
고산의 충절, 시조로 울려 퍼지다
윤선도(尹善道)의 시조 '견회요(遣懷謠)'는 임금에 대한 충성심과 고난 속에서도 꺾이지 않는 의지를 담아낸 명작입니다. 이 시조는 광해군 8년(1616년)에 권신 이이첨의 횡포를 고발하는 상소를 올린 뒤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된 윤선도가 지었습니다.
슬픔과 기쁨 속의 확고한 신념
첫 연에서는 슬픔과 기쁨을 넘어선 윤선도의 확고한 신념이 드러납니다. 그는 자신의 할 일만 닦고 다른 일에는 관여하지 않겠다고 다짐합니다. 이는 이이첨의 부패와 권력 남용에 타협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
두 번째 연에서는 임금에 대한 충성심이 절절히 표현됩니다. 윤선도는 자신의 마음이 어리석다 하더라도 임금을 위해 행동한다고 선언합니다. 아무리 험담이 있어도 임금이 자신의 충성심을 헤아려 주시기를 간청합니다.
경원의 시냇물과 외기러기
세 번째 연에서는 유배지인 경원의 시냇물과 외기러기를 통해 임금에 대한 그리움과 충성심을 형상화합니다. 시냇물은 밤낮으로 흐르며 임금을 향한 자신의 마음도 끊임없이 흐른다고 합니다. 외기러기는 고향을 그리는 윤선도의 마음과도 겹쳐집니다.
어버이와 임금, 동일한 충
네 번째 연에서는 어버이에 대한 그리움과 임금에 대한 충성심을 동일시합니다. 윤선도는 처음부터 어버이를 그리워할 줄 알았지만, 임금에 대한 충성심은 하늘이 정해준 것이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임금을 잊는 것은 불효라고 단언합니다.
연군의 정리, 효심과 일치
이 시조의 주요 특징은 연군의 정리가 효심과 일치한다는 것입니다. 윤선도는 임금에 대한 충성심을 효심의 차원으로까지 높여 표현합니다. 이는 임금과 신하 사이의 관계를 엄격한 계층적 질서로 보는 당시의 사회에서 매우 혁신적인 사고였습니다.
충절의 시적 표현
견회요는 윤선도의 충절과 강직함을 시적으로 표현한 걸작입니다. 그의 확고한 신념,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심, 어버이와 임금에 대한 동일한 충성심이 감동적으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이 시조는 조선시대 유배 문학의 대표작이자, 한국 고전시의 걸작으로 꼽힙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