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씨부인의 고전수필 조침문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6. 8.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유씨부인의 고전수필 조침문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바늘을 애도함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유씨부인의 고전수필 조침문

유씨부인의 고전수필 조침문

 

 

유씨부인의 고전수필 조침문 해석 해설

유씨부인의 고전수필 조침문 해석 해설입니다. 

 

유씨 부인의 고전 수필, 조침문

작품 안내

명문가에서 태어난 유씨 부인은 문벌 있는 집안에 시집갔으나, 집안이 가난해지고 자녀도 없었으며 과부가 되어 생계를 이어가기 위해 바느질을 했습니다. 그녀가 아끼던 바늘이 어느 날 부러지자 너무 서러워 바늘을 의인화하여 제문 형식으로 글을 썼습니다.

주요 내용

 바늘을 얻은 경위와 작가와의 관계
 바늘의 신묘한 재주
 바늘이 부러진 경위
 애도의 심정과 후세의 기약

작품의 특징

 의인화: 바늘을 의인화하여 제문의 형식을 빌려 씁니다.
 사실 과장: 바늘의 기능을 과장하여 표현합니다.
 의성어와 의태어: 생생한 느낌을 주기 위해 의성어와 의태어를 사용합니다.
 우아하고 섬세한 문장: 감정이 고조된 곳에서는 운문체를 사용하는 등 문장이 우아하고 섬세합니다.

연구 문제

1. 작가에 대해 말한 것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잔정이 많은 다정 다감한 여인이다.
   (2) 시댁은 벼슬을 하는 양반 집안이다.
   (3) 진취적인 생활 태도를 지닌 여인이다.
   (4) 남편과 사별하고 혼자서 사는 여인이다.
   (5) 자식 없이 바느질로 생계를 꾸려가고 있다.

2. 표현상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대상을 의인화하였다.
   (2) 대상을 관조적으로 표현했다.
   (3) 사실을 다소 과장하였다.
   (4) 우아하고 섬세한 산문체 문장이다.
   (5) 감정이 고조된 곳은 운문체로 표현했다.

3. 바늘이 지닌 순종의 덕성이 드러난 곳은?
   (1) 바늘의 신묘한 재주를 찬양한 곳
   (2) 바늘의 부러진 경위를 서술한 곳
   (3) 애도의 심정을 표현한 곳
   (4) 후세의 기약을 밝힌 곳

4. 생명이 없는 바늘에 대해 "정이 든" 까닭은?
   (1) 오랜 세월 동안 함께 지내며 애정이 생겼기 때문
   (2) 바늘이 작가의 소중한 생계 수단이었기 때문
   (3) 바늘이 작가의 외로움을 달래주는 존재였기 때문
   (4) 바늘이 작가의 아픈 과거를 상기시켜주는 물건이었기 때문

5. 글쓴이의 정서와 가장 가까운 것은?
   (1) 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2) 청초 우거진 골에 자난다 누엇난다.
   (3) 이 몸이 죽어 가서 무엇이 될꼬 하니,
   (4) 동기로 세 몸 되어 한 몸같이 지내다가
   (5) 어져 내 일이야 그릴 줄을 모로다냐.

이해와 감상

작가는 아끼던 바늘이 부러지자 마치 살아 있는 존재를 잃은 것처럼 슬퍼하며 제문을 썼습니다. 이 글에서 우리는 작가의 섬세한 감정과 바느질에 대한 깊은 애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소중한 물건을 잃었을 때의 슬픔과 회한을 통해 인간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

참고 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조침문"
 ebs 수능 특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