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월명사의 향가 제망매가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4. 28.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완성 중 월명사의 향가 제망매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완성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애도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월명사의 향가 제망매가

월명사의 향가 제망매가

 

 

월명사의 향가 제망매가 해석 해설

월명사의 향가 제망매가 해석 해설입니다. 

 

월명사의 향가, 제망매가(祭亡妹歌)

<양주동 역>
생사로(生死路)는‌         生死路隱(생사로은)
예‌있으매‌두렵고‌‌         此矣有阿米次肹伊遣(차의유아미차힐이견)
나는‌간다‌말도‌         吾隱去內如辭叱都(오은거내여사질도) 
못다 이르고 가느닛고.‌         毛如云遣去內尼叱古(모여운견거내니질고) 
어느 가을 이른‌바람에 ‌             於內秋察早隱風未(어내추찰조은풍미) 
이에‌저에‌떨어질‌잎같이,‌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차의피의부량락시엽여) 
한‌가지에‌나고‌        一等隱枝良出古(일등은지량출고)
가는 곳 모르온저!            去奴隱處毛冬乎丁(거노은처모동호정)
아으, 미타찰(彌陀刹)에 만날 나는    阿也‌彌陀刹良逢乎吾(아야미타찰량봉호오)
도(道) 닦아 기다리련다!‌        道修良待是古如(도수량대시고여)

못다 이르고 : 예고 없는 죽음
잎 : 유한한 생명
바람 : 유한한 생명을 지배하는 존재
가는 곳 모르온저 : 인생의 무상성
도 닦아 기다리련다 : 종교적 극복

<김완진 역>
생사 길은
예 있으매 머뭇거리고,
나는 간다는 말도
몯다 이르고 어찌 갑니까.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
한 가지에 나고
가는 곳 모르온저.
아아, 미타찰에서 만날 나
도 닦아 기다리겠노라.

핵심정리
▶연대 : 신라 경덕왕
▶종류 : 10구체 향가
▶성격 : 추도가
▶사상적 배경 : 불교 아미타 미래의 복을 구한다는 사상, 미륵불사상과 대비된다
 사상
▶주제 :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빎
▶의의 : 뛰어난 비유를 통해 인간고의 종교적 승화를 노래함
▶표현 : 
비유법, 상징법, 영탄법

구성
 제14행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망매에 대한 혈육의 정(기)
 제58행 인생의 허무에 대한 불교적 무상감(서)
 제910행 불교에의 귀의심(결)

핵심문제
1. 이 노래에 대한 감상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의식요(儀式謠)의 성격을 엿볼 수 있다.
②인생의 무상감이 절실하게 드러나 있다.
③애도의 정을 뛰어난 비유로 표현해 냈다.
④인간적 고뇌를 종교적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⑤불교적 무상감에 의한 절망적 어조가 부각되어 있다.

이해와 감상
 이 노래는 첫단락에서 누이의 죽음을 직면한 현재를, 둘째 단락에서는 누이와의 속세의 인연을 그린 과거를, 그리고 마지막 단락에서는 서방정토(西方淨土)에서의 만남이라는 미래를 노래하고 있어 불교의 삼세윤회(三世輪廻)의 진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때문에 월명사는 죽은 누이동생을 애도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그것을 빌어 불교 신앙, 특히 대승(大乘)의 아미타(阿彌陀) 신앙에의 귀의(歸依)를 노래하고 있다. 또한 적절한 비유의 참신성은 그의 높은 정신세계를 잘 드러내 주고 있으며, 죽음에 직면한 슬픔을 회자정리(會者定離)의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새로운 만남을 기약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법은 한용운(韓龍雲)의 님의 침묵에서도 발견되는 이미지로 인간적인 슬픔을 종교적 정신세계로 정화하여 초극하려 하고 있다.

배경 설화
한 가지에 나고도 흩어지는 잎새 같은 인생이런가 이 노래는 유사 권 5 월명사조에 그 도솔가를 짓게 된 전후사를 서술한 뒤에 이어 소개된 것이다. 즉 말하기를 월명이 또 일찍 죽은 누이를 위하여 제를 올릴 때 향가를 지어 제사 지냈더니, 홀연히 광풍이 일어 지전을 날려서 서쪽으로 향하여 없어졌다.

출제목록
2017 수능특강
2014 수능특강 b형
2013 인터넷수능
2007년 6월 3학년 평가원 모의수능
1997년 대수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