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안민학의 고전수필 제망실곽씨문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3. 5. 27.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인터넷수능 중  안민학의 고전수필 제망실곽씨문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수능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죽은 아내 안타까움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안민학의 고전수필 제망실곽씨문

안민학의 고전수필 제망실곽씨문

 

 

 안민학의 고전수필 제망실곽씨문 해석 해설

 안민학의 고전수필 제망실곽씨문 해석 해설입니다.







안민학의 고전수필, 제망실곽씨문


안민학의 고전 수필, 제망실곽씨문

핵심정리
▶갈래 : 고전수필
▶주제 : 일찍 죽은 아내에 대한 안타까움과 그리움

구성
아내의 죽음을 마주한 자신의 심경과 아내에 대한 그리움
아내와 결혼하기까지의 과정, 서로 감정을 드러내지 못했던 결혼생활 회고
가난한 살림 때문에 아내가 고생했던 모습
자식을 통해 이어지는 아내와 자신의 생명

이해와 감상
조선 시대의 문신 안민학(15411601)이 자신보다 세상을 먼저 떠난 부인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토로한 작품이다. 조선 시대에는 부부간의 정을 직접 표현하는 일이 흔치 않았으며, 사대부 남성의 경우에는 부인이 먼저 죽었을 경우에 한해 묘비명, 제문, 행장 등의 형식으로 그 마음을 드러냈을 따름이었다. 아내가 가난한 자신에게 시집와서 고생했던 내용, 살아 생전 정을 드러내고 표현하지 못했던 아쉬움, 자식의 생명을 통해 아내와 자신의 생명이 이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해 가는 등의 내용은 그 시대적 한계와 관계없이 되새겨볼 만한 진솔한 안타까움과 그리움을 표현하고 있다.

출제목록
2015 ebs인터넷수능 b

더 알아보기
상례 중의 제사 때 읽는 제문(祭文) 가운데 특히 죽은 아내를 위해 쓴 글을 제망실문, 제망처문 등으로 부른다. 조선 시대 부부들은 엄격한 내외 구분 탓에 자유로운 애정 표현이 제한되어 있었고, 부부가 함께 밥을 먹거나 애정을 표현하는 등의 일은 문자화되어 밖으로 나돌 수가 없었다. 그러나 제망실문에서는 솔직한 그리움과 못다 한 애정 표현이 이루어지는 것이 당연한 일이었고, 상세한 장면 제시와 묘사를 통해 아내가 죽기까지의 구구절절한 사연을 드러내는 것을 이상하게 받아들이는 사람 또한 없었다. 다만 남편들이 그리워하는 아내의 형상이 헌신적인 여성상으로 드러난 점은 전근대 사회의 남성으로서 글쓴이의 입장을 반영한 모습이기도 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