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실전02 보드리야르의 소비사회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보드리야르 소비사회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실전02 보드리야르의 소비사회
실전02 보드리야르의 소비사회 해석 해설
실전02 보드리야르의 소비사회 해석 해설입니다.
실전02 보드리야르의 소비사회
실전02 보드리야르의 소비사회(287288쪽)
▲소비 사회에 대한 보드리야르의 견해
1문단 : 현대 사회를 소비 사회로 진단한 보드리야르
근대 자본주의 사회 :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
인간의 욕구 충족을 위한 물건의 생산, 교환, 소비
장 보드리야르 : 물건과 소비를 중심으로 자본주의를 바라봄 → 소비사회로 진단
2문단 : 소비 사회에서 상품과 개인이 지니는 특성
보드리야르 : 상품은 사용 가치의 대상이 아님, 인간의 자연적인 본성(욕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님
인위적인 욕구 조작을 통해 만들어진 체계 속에서 의미를 가지는 소비의 대상
자본주의의 개인 : 자신의 욕구를 자율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님(상품 생산 논리에 부합되는 존재)
유혹에 끊임없이 지배당하는 존재
3문단 : 상품 생산 논리의 핵심인 재생산과 소비
보드리야르 : 자본주의적 상품 생산 논리의 핵심을 생산이 아니라, 재생산과 소비로 봄
생산은 재생산과 소비를 통해 의미와 기능을 인정받음
재생산과 보비를 중심으로 해석 의도 : 경제학의 생산 중심 논리 비판 +소비 중심으로 자본주의 사회 이해
4문단 : 광고를 통해 문화적 기호로 작동하는 물건들
광고 : 상품에 대한 인위적인 소비 욕구 창조 → 대량 소비·재생산 가능하게 함
생산 욕구 : 인위적 광고 효과의 산물
소비와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관계 내부의 범주
소비 생산 : 인위적인 욕구에 따른 차이 관계로 설명
예) 국산차보다 외제차 선호
(사용가치의 차이가 아니라, 문화적 차이 때문)
물건들은 과거와는 전혀 다른 문화적 기호로 작동(다른 물건과의 관계 속에서의 의미 생산)
5문단 : 기호 체계로서의 소비 사회
보드리야르 : 차이의 논리가 기호화된 체계 속에서 지속적 재생산→ 사람들에게 소비를 유혹
다른 사람과의 차별화된 사회적 의미를 얻게 하는 기호체계가 개인, 물건, 욕구, 생산보다 우선한다
개인을 포함한 어떤 대상도 차별화된 기호 체계나 코드 체계로부터 벗어날 수 없음
해제
이 글은 근대 자본주의 사회와 구별하여 현대 사회를 소비 사회로 진단한 보드리야르의 견해를 소개하고 있다. 그는 인간이 자신의 필요에 의한 욕구가 아닌 인위적으로 조작된 욕구에 의해 소비의 유혹에 지배당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 때문에 상품 생산 논리에서 중요한 것은 재생산이며, 주로 인위적인 소비 욕구를 창조하는 광고를 통해 상품의 소비와 재생산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인위적인 욕구는 유용성의 차이보다 문화적 차이에 의해 인간이 상품을 소비하게 만들며, 이때 물건은 문화적 기호로 작동한다. 보드리야르는 이 차별화된 기호 체계를 소비 사회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표제와 부제
표제 :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보드리야르의 진단
부제 : 소비 사회를 중심으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