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전 순정률과 평균율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4. 5.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완성 중 실전 순정률과 평균율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완성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순정률, 평균율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실전 순정률과 평균율

실전 순정률과 평균율

 

 

실전 순정률과 평균율 해석 해설

실전 순정률과 평균율 해석 해설입니다. 

 

순정률과 평균율

음계란 한 옥타브 내에 있는 음들을 특정한 순서로 배열한 것입니다. 음계를 설계할 때는 한 옥타브를 적절한 수의 음으로 나누고, 그 음들이 화음을 이루고, 어떤 음에서 시작해도 음높이만 다를 뿐 선율을 변하지 않는 음계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음계를 설계한 역사는 오래되었는데, 피타고라스는 음의 높이가 현의 길이에 반비례하고, 진동수에 비례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한 옥타브를 2:3의 비율로 나누어 완전 5도를 만들었고, 이를 다시 3:4의 비율로 나누어 완전 4도를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수의 비를 가진 아름다운 소리를 가진 음들로 음계를 구성하는 방법을 순정률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순정률에는 한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음정 간의 비율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조옮김이나 협주를 할 때 불협화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이 평균율입니다.

평균율은 한 옥타브를 일정한 비율로 12등분한 것입니다. 음정 간의 간격을 센트라는 단위로 표현할 때, 순정률의 온음은 204센트, 반음은 90센트인 반면, 평균율의 온음은 200센트, 반음은 100센트입니다. 이처럼 평균율은 순정률과 약간 차이가 있지만, 조옮김과 협주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대에는 평균율이 순정률보다 더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평균율이 조옮김과 협주에 더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어떤 사람들은 순정률의 아름다운 소리를 선호하기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