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수능완성 중 신동엽의 시 종로 5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완성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도시빈민의 고통과 비애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신동엽의 시 종로 5가
신동엽의 시 종로 5가 해석 해설
신동엽의 시 종로 5가 해석 해설입니다.
신동엽의 시, 종로 5가
신동엽의 시 종로 5가({동서춘추}, 1967.6)
이슬비 오는 날,
종로 5가 서시오판* 옆에서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하략합니다>
핵심정리
▶성격 : 비판적, 회고적, 현실 참여적
▶특징 : 회상의 방식으로 내용을 전개함.
시적 화자의 상상을 곁들여 민중의 비극적 현실을 부각시킴.
▶주제 : 농촌을 떠나온 도시 빈민의 고통과 비애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시적 화자가 종로 5가 신호등 앞에서 동대문을 묻는 한 소년과의 만남을 계기로 당대 민중들의 운명을 서술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즉, 산업화와 근대화를 부르짖던 1960년대 사회적 상황 속에서 도시의 노동자나 창녀로 변해 가는 농민과 민족의 모습을 역사적 시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작품이다. 농민의 희생과 농촌의 붕괴를 담보로 해서 이루어진 산업화 정책으로 인해 농민들은 자신들의 생존을 위해 피폐된 농촌을 떠나 어쩔 수 없이 도시의 노동자나 창녀로 전락하는 처지가 되었다. 그러므로 노동으로 지친 나의 가슴에서 유추해 볼 수 있는 노동자 계급의 화자의 눈에 비친 현실은 이슬비 오는 날로 시작하여 비에 젖고 있었다로 끝나는 작품의 어두운 분위기만큼 침울하고 고통스럽다.
전 9연의 이 시는 내용상 크게 5단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단락은 1~2연으로 한 소년과의 만남이 제시된 부분이다. 이슬비 내리는 날과 통금에 쫓기는 밤 열한 시 반이라는 시간적 배경과 종로 5가 서시오판 옆이라는 공간적 배경이 자아내는 절박한 상황은 크고 맑기만 한 그 소년의 눈동자와 대비됨으로써 더욱 고조된다. 한편, 서시오판은 신호등을 뜻하는 것으로 소년의 운명의 갈림길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단락은 3~4연으로 소년의 모습과, 그것으로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는 소년의 운명을 암시하는 부분이다. 새로 사 신은 운동환 벗어 품고에서 때묻지 않은 동심을 엿볼 수 있으며, 저희끼리 비에 젖고 있는 / 먼 길 떠나온 고구마는 따스한 온정을 지닌 존재임을 알게 해 준다. 그러나 노동자의 홍수 속에 묻혀 보이지 않는 그에게서 어린 노동자로서 그가 헤쳐 나가야 할 비극적 운명이 상징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셋째 단락은 5~6연으로 언젠가 보았던 창녀와 막노동자의 모습을 회상하는 부분으로, 화자는 그들을 소년의 가족으로 생각하고 있다. 화자는 양지 쪽 기대 앉아 / 속내의 바람으로 때묻은 긴 편지를 읽고 있는 부은 한쪽 눈의 창녀와 고층 건물 공사장에서 허리를 다쳐 쓰러져 있는 등짐하던 노동자가 겪는 개인적 비극을 세 개의 외세 대륙․섬나라․새로운 은행국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다. 반도라는 지정학적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민족의 고난을 대륙과 섬나라로 나타내고 있으며, 미국 자본에 의존하여 수출 주도형 산업화 정책을 펼치고 있는 60년대 경제 정책을 새로운 은행국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인의 투철한 현실 인식은 결국 화자로 하여금 현실은 이조 오백 년과 다를 것이 없으며, 8연의 북간도로 갈 수밖에 없었던 일제 시대에 비해 나을 것이 없다는 극단적인 생각을 갖게 하는 것이다.
넷째 단락은 7~8연으로 농촌의 황폐한 현실과, 그로 인한 농민들의 이농(離農) 현상을 요약적으로 보여 주는 부분이다. 남은 것은 없었다, 변한 것은 없었다, 이조 오백 년은 끝나지 않았다로 이어지는 화자의 애환 어린 탄식과 옛날 같으면 북간도라도 갔지라는 자조 섞인 독백에서 당시 농촌 현실의 궁핍화를 충분히 헤아려 볼 수 있다.
마지막 단락인 9연은 1연의 시상을 변형 반복하는 부분으로, 화자의 신분을 노동으로 지친 나라는 구체적 표현으로 알려주고 있다. 낯선 소년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는 지식인의 시각이 아니라, 같은 노동자의 입장에서 그의 고통을 바라보는 화자의 동정심은 마침내 나의 가슴에선 도시락 보자기가 / 비에 젖고 있었다라는 끝 구절로 용해됨으로써 전편에서 서술된 내용에 대한 신빙성을 한층 더 강화시키고 있다. <양승준, 양승국 공저 [한국현대시 400선이해와 감상]>
더 알아보기
▲신동엽의 종로 5가에 등장하는 소년과 연관지어 살펴 볼 작품 : 고은의 시 만순이모두 부조리한 상황의 희생자로 볼 수 있다.
출제목록
2013 ebs수능완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