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성석제의 소설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분수에 맞는 삶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성석제의 소설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성석제의 소설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해석 해설
성석제의 소설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해석 해설입니다.
성석제의 소설,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동서문학, 2000년 겨울호
줄거리
새말터의 황만근은 전쟁 때 아버지를 잃고 유복자로 태어나 편모 밑에서 자랐습니다. 지적 능력이 부족하여 아이들에게까지 놀림감이 되었고, 몸도 제대로 가누지 못해 넘어졌으며, 말도 분명하지 않았습니다.
어느 날 그는 자살하려는 처녀를 구해 아들을 얻었지만, 그 여자는 곧 떠나버렸습니다. 그 이후로 그는 어머니를 부양하고 아들을 키우며 마을 공동체의 일원으로 살았습니다. 마을의 궂은일을 도맡아 하면서도 대가를 바라지 않았습니다.
그는 마을에 있어도 없어도 되는 존재였지만, 민순정이라는 도시에서 이주한 사람만이 그 진짜 모습을 알고 있었습니다.
갑자기 황만근은 마을에서 사라졌습니다. 군 입대 신체검사를 받는 날 외에는 단 하루도 마을을 떠난 적이 없는 그가 사라진 것입니다. 평소에는 있는 듯 없는 듯 여겨지던 황만근의 부재는 마을 사람들에게 불편을 안겨주기 시작했습니다.
농가 부채 탕감을 위한 농민 총궐기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마을 사람들이 버스나 트럭, 승용차를 타고 떠났지만, 황만근은 이장의 지시대로 백리 길을 경운기를 끌고 갔습니다. 그는 결국 궐기대회에 참석하지 못하고 돌아오는 길에 경운기가 차와 부딪혀 사망했습니다. 황만근의 주검은 1주일 만에 뼈로 돌아왔습니다.
민순정은 황만근의 주검 앞에 묘비명을 썼습니다.
구성
발단: 황만근의 실종에 대한 마을 사람들의 반응
전개: 황만근의 출생과 성장, 마을에서의 존재 가치
위기: 농민 총궐기대회에 참석하는 황만근
절정·결말: 주검으로 돌아오는 황만근과 그를 추모하는 민순정
등장인물
황만근: 유복자로 태어나 바보라는 놀림을 받지만 성실하게 사는 농부
민순정: 도시에서 이주하여 실패하고 돌아간 사람으로, 황만근의 인간됨을 아는 유일한 사람
이장, 황재성, 황동수, 황규수, 황영석, 여씨 노인, 황학수 등: 새말터의 농민으로, 황만근을 이용하며 놀림감으로 삼았지만 그의 진짜 모습을 모르는 사람들
핵심정리
갈래: 단편소설, 농촌소설
성격: 해학적, 사실적
배경:
시간적: 1997년 어느 봄날
공간적: 농촌(신대1리 새말터)
시점: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
주제: 황만근의 인품에 대한 예찬과 인정이 메말라가는 농촌 사회에 대한 풍자
특징:
주인공의 실종으로 시작하여 독자의 흥미를 유발함
주인공의 생애를 추적하는 구성으로 구조적 완결성을 갖춤
고전문학의 전(傳)의 양식을 차용함
황만근과 주변 사람들의 행동과 대화가 해학적으로 그려짐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가난하고 어리석은 농부 황만근의 일대기를 재미있고도 슬프게 그려낸 것입니다. 부채로 얼룩진 농촌의 현실과 메말라가는 인정을 통해 삶의 어두운 면을 보여줍니다.
성석제는 상상과 현실, 농담과 진담, 과거와 현재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작가로 평가받습니다. 그는 미묘한 경계선을 거닐며 재미있는 입담으로 이야기를 펼칩니다.
이 작품에서도 황만근의 일생을 통해 남을 먼저 생각하고 자신의 분수를 지키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농민 총궐기대회에 참석하지 않고 경운기를 끌고 갔던 황만근의 행동은, 형식적인 궐기대회에 가는 것보다 옳은 자세였습니다. 그러나 세태는 그와 달랐습니다. 그래서 황만근은 바보가 되고 뒤처졌고, 결국 죽음에 이르렀습니다.
이 소설은 농촌의 문제와 더불어 사라지고 있는 인간의 정에 대한 문제를 다룹니다. 이기적인 사회에서 황만근은 욕망과 이기심으로 뭉친 삶을 되비추는 거울과 같은 존재였습니다.
더 알아보기
이 작품은 2001년 이효석 문학상 수상 작품이며, 2002년 출간된 같은 제목의 소설집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성석제는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소설집으로 제33회 동인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관련 작품: 박지원의 '예덕선생전', '광문자전'
출제목록
2020년 ebs 수능특강
2017년 7월 전국연합
2016년 ebs 수능특강
2015년 인터넷수능b
2013년 인터넷수능b
2010년 3월 전국연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