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정주의 시 무등을 보며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4. 1.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서정주의 시 무등을 보며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본질적 가치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서정주의 시 무등을 보며

서정주의 시 무등을 보며

 

 

서정주의 시 무등을 보며 해석 해설

서정주의 시 무등을 보며 해석 해설입니다. 

 

 서정주의 시, 무등을 보며

서정주의 시, 무등(無等)을 보며(<현대 공론> 1954.8)

가난이야 한낱 남루(襤褸)에 지나지 않는다.
저 눈부신 햇빛 속에 갈매빛의 등성이를 드러내고 서 있는
<저작권 문제로 하략합니다>

 남루 : 헌 누더기. 옷 따위가 해져 지저분함
 갈매빛 : 짙은 초록빛
 지란 : 영지와 난초.
 눙울쳐 : 기운을 잃고 풀이 꺾이어.
 쑥구렁 : 쑥이 자라는 험하고 깊은 구렁. 무덤.

핵심정리
▶성격 : 낭만적, 전통적
▶심상 : 시각적
▶어조 : 설득적 어조, 긍정적 어조
▶표현 : 대유법, 의인법, 직유법
▶구성 : ① 자녀를 소중하고 품위 있게 기름.(제1,2연) ② 휴식을 취하는 부부의 모습.(제3,4연) ③ 가난에 굴하지 않고 품위와 지조를 지킴.(제5연)
▶제재 : 가난.(생활의 어려움)
▶주제 : 본질적 가치에 대한 긍지와 신념

연구문제
1. ㉠은 어떠한 때인지 20자 정도로 쓰라.
▶ 생활 속의 피로와 허기를 느끼는 때.
2. ㉡은 어떤 상황을 비유한 것인지 두 가지 측면에서 간단히 설명하라.
▶(1) 고난과 시련으로 가득찬 삶의 조건 (2) 생의 마감, 곧 죽음.
3. 제4연에서 내외간의 행위가 함축하고 있는 정신을 두 어절로 답하라.
▶부부간의 사랑.(사랑과 신뢰)
4. 시인은 무등산에서 한국인의 어떤 모습을 발견하여 시로 승화시키고 있는지 50자 정도로 말해 보라.
▶물질적 궁핍, 육체적 곤궁을 극복하는, 슬기롭고 의젓한 생활인의 모습을 시로 승화시키고 있다.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생명 현상에 대한 강렬한 탐구가 주류를 이루던 초기시의 특징에서 벗어나 화해와 달관의 세계로 다가선 서정주 문학의 제2기 대표작으로서 초기시에 보이던 강렬한 생명의 솟구침이 가라앉고, 화해와 달관의 세계로 나아간 1950년대 작품이다. 1954년경 광주 조선대학교 교수로 있었던 그는 6.25의 상처와 물질적 궁핍이 극심한 가운데 무등산(無等山)의 크고 의젓한 자태를 삶의 모형으로 삼아 이 시를 썼다.
6.25 동란으로 인한 광주에서의 피난 생활은 인정이 메말라 허기지고 고달픈 삶이었다. 가난이라는 것은 우리 몸에 걸친 헌 누더기 같은 것일 뿐 그 속에 있는 몸과 마음의 근원적인 순수성까지를 덮어 가리지 못한다는 것이 작품 전체를 떠받치는 바탕이다. 시인은 무등산을 묵묵히 바라보며 자신의 생활 철학 즉, 가난이 인간의 타고난 본질까지 훼손시킬 수는 없다는 것과 삶의 곤란함에 의연하게 대처하며 살아가기를 담담한 어조로 표현하고 있다. 그는 사람들이 청산과 같은 강건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으며, 가난은 그 정신의 강건한 생명력 을 가릴 수 없는 물질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사람들이 곤궁한 삶 속에서도 청산을 본받아 부모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부부간의 사랑을 더욱 돈독히 하면서 의연하게 살아가기를 권유한다. 그래서 이 시에서의 청산은 화자가 지향하는 세계이자 화자가 사람들이 지향하기를 바라는 세계라고 할수 있다. 갈매빛, 청산, 지란, 옥돌, 청태 등에서 나타나는 푸른색 심상은 화자의 그런 태도를 잘 드러내 준다.

더 알아보기
▲현실극복이 담긴 작품들
▲삶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다룬 작품들
▲무등을 보며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태도
시적 화자는 눈부신 햇빛 속에서 갈매빛 등성이를 드러내고 서 있는 산을 바라보며 자신의 가난한 처지를 떳떳하게 생각한다. 가난이란, 사람의 몸을 싸고 있는 헌 누더기 같은 것이어서, 그 속에 타고난 마음씨의 순결함까지 덮어 가릴 수는 없다는 것이다. 사람의 참된 바탕이 물질적인 궁핍으로 인해 찌들기는커녕, 오히려 그 속에서 더욱 빛을 낸다는 것이 시적 화자는 푸른 산이 그 품안에 지초와 난초 같은 기품 있는 풀꽃들을 기르듯이, 아무리 궁핍하더라도 우리는 슬하의 자식들을 소중하고 깨끗하게 기를 수밖에 없다는 의연하고 긍정적인 자세를 취한다.

출제목록
2016 수능특강
2015 ebs인터넷수능b
2003학년도 9월 모의평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