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정주의 시 꽃밭의 독백 년 월 모의수능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5. 3.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서정주의 시 꽃밭의 독백 년 월 모의수능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영원한 세계 도달 열망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서정주의 시 꽃밭의 독백 년 월 모의수능

서정주의 시 꽃밭의 독백 년 월 모의수능

 

 

서정주의 시 꽃밭의 독백 년 월 모의수능 해석 해설

서정주의 시 꽃밭의 독백 년 월 모의수능 해석 해설입니다. 

 

서정주의 시, 꽃밭의 독백(獨白)

사소(娑蘇) 단장(斷章)(서조(思潮) 창간호, 1958.6)

노래가 낫기는 그 중 나아도
구름까지 갔다간 되돌아오고,

<저작권 문제로 하략합니다>

 
사소(娑蘇) : 신라의 시조인 박혁거세의 어머니
단장(斷章) : 토막을 지어 몇 줄씩의 산문체로 적은 글. 완전한 체제를 이루지 못한 문장의 단편(斷片)
노래 : 시적 화자가 현재 누리고 있는 것이지만, 이미 그 가치를 잃은 대상. 인간 세계나 존재의 유한성을 환기하는 대상물임.
되돌아오고 : 시적 화자의 한계 의식을 드러냄. 멎어 버렸다(4행), 입맛을 잃었다.(6행), 기대 섰을 뿐이다(11행)에서 나타나는 태도와 유사함.
산돼지, 산새들 : 인간 세계의 유한성을 환기하는 대상물임.
꽃 : 순수한 존재, 소멸(죽음)과 재생(부활)의 순환 작용으로 영원한 생명을 누리는 아름다운 대상.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제재 : 꽃
▶주제 : 영원한 절대 세계에 도달하고자 하는 열망 
▶특징
 대상인 꽃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을 통해 화자의 간절한 심정을 드러냄
 동일한 시구를 반복하여 화자의 소망을 주술적인 표현으로 나타냄
 역설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화자의 각오를 드러냄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자연물을 활용하여 화자가 추구하는 바를 나타냄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삼국유사}에 실려 전하는 사소 설화를 변용하여 구도자(求道者)의 신앙적 염원인 영원한 절대 세계에 대한 열망을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사소는 신라 시조인 박혁거세의 어머니이다. 그녀는 처녀로 잉태하여 산으로 신선 수행(神仙修行)을 떠난 일이 있는데, 이 시는 집을 떠나기 전, 집 꽃밭에서의 독백을 시화한 것으로 인간 세계의 유한성과 인간 본질의 한계성을 깊이 인식한 사소가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인간의 부활을 갈망하는 구도적 정신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시는 전 14행의 단연시로 내용상 3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1단락은 1~6행으로 인간 유한성을 제시하고 있다. 노래가 좋기는 가장 좋아도 그 소리는 구름까지 갔다가는 돌아올 수밖에 없고, 힘차게 달리는 말도 바다에 이르면 멎을 수밖에 없음을 인식하게 된 화자, 즉 사소가 산돼지나 산새들에게 입맛을 잃어버렸다는 독백을 통하여 인간 세계의 유한성을 말하고 있다. 2단락은 7~11행으로 자연과 동화될 수 없는 인간 본질의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다. 핵심적 이미지인 개벽하는 꽃은 소멸과 생성, 죽음과 부활이 반복됨으로써 거듭 태어나는 영원한 생명을 상징한다. 화자는 꽃으로 상징된 자연의 세계, 곧 영원의 세계에 합일되려 하지만, 결국은 네 닫힌 문에 기대섰을 뿐인 자신의 한계만을 자각할 뿐이다. 다시 말해, 신선이 되고 싶어하는 사소는 열심히 선(仙)의 세계를 꿈꾸고 있으나, 그 때마다 영원할 수 없는 인간 존재의 한계성을 확인하고 절망하는 것이다. 3단락은 12~14행으로 영원의 세계를 갈망하는 화자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벼락과 해일은 영원의 세계에 이르기까지 화자가 극복해야 할 온갖 고통이나 형벌을 의미하며, 문 열어라 꽃아. 문 열어라 꽃아라는 주술적 성격의 반복되어 나타나는 절규 속에는 영원의 세계를 향한 뜨거운 열망이 담겨 있다. 그것은 바로 현실 세계의 대지적 존재를 벗어나 영원한 세계로 상승하고자 하는 화자의 희원(希願)이자, 결국은 이 시의 작자, 미당의 희원이기도 하다.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19년 ebs수능특강
2008년 9월 모의수능
2002년 7월 전국연합




이상이 서정주의 시, 꽃밭의 독백에 대한 2000자 분석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