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봉산탈춤 제 과장 미얄과장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3. 29.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봉산탈춤 제 과장 미얄과장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처첩갈등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봉산탈춤 제 과장 미얄과장

봉산탈춤 제 과장 미얄과장

 

 

봉산탈춤 제 과장 미얄과장 해석 해설

봉산탈춤 제 과장 미얄과장 해석 해설입니다. 

 

봉산탈춤제 7과장 미얄과장

개요

미얄과장은 조선 봉산지역에서 전승되어 오던 탈춤 대본의 제7장으로, 헤어진 영감과 미얄이 재회한 후 갈등을 겪는 내용을 다룹니다. 난리로 인해 흩어졌던 영감과 미얄은 우연히 서로를 만나게 되었지만, 영감은 미얄의 첩인 덜머리집에 반해 미얄에게 횡포를 부립니다. 이에 분노한 미얄과 덜머리집은 싸움을 벌이다가 미얄이 죽게 됩니다. 남강노인이 등장하여 무당을 불러 미얄의 넋을 위로하는 굿을 하면서 과장은 끝납니다.

줄거리

미얄할멈이 춤을 추며 등장하여 악공 앞에 와서 울고 있습니다. 악공은 미얄할멈에게 난리로 헤어진 영감을 찾고 있다는 말을 듣습니다. 이때 할멈을 찾아 헤매던 영감이 등장하여 서로 만나 반가워합니다. 두 사람은 지난 이야기를 나누지만, 영감은 아들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미얄과 헤어지기로 결심합니다. 그러나 영감이 첩인 덜머리집을 미얄에게 소개하자 두 사람은 싸움을 벌입니다. 결국 미얄은 덜머리집과 싸우다가 쓰러져 죽고, 남강노인이 등장하여 무당을 불러 미얄의 넋을 위로하는 굿을 하게 됩니다.

의의

미얄과장은 조선시대 여성에게 가해지던 남성과 사회의 횡포를 풍자하고 비판합니다. 익살스러운 춤 동작과 대사, 과장된 표정의 가면이 사용되어 전통극의 재미를 느낄 수 있고, 동시에 여성의 권익 신장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생각하게 합니다.

특징

 고사와 속담을 적극 활용하여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대표적인 민속극으로서 중요 무형 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주로 상인과 이속(관리의 하급 관원)들이 공연했습니다.

등장인물

 미얄할멈: 무당으로, 전쟁 중 실종된 남편을 찾아 헤매는 서민의 대변인
 영감: 맷돌 수선장, 땜장이로, 난리 이후 미얄을 구박하는 인물
 덜머리집: 영감의 첩으로, 젊은 여성

해석과 감상

미얄과장은 난리로 인한 가족의 이산과 재회, 남성의 횡포와 여성의 비참한 운명을 다룹니다. 조선시대의 사회적 상황을 반영하는 작품으로서, 여성의 권익 신장과 남녀 평등의 중요성을 일깨워 줍니다. 또한 익살스러운 춤과 재담이 있어 전통극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추가 정보

 갈등 구조: 미얄과 영감 간의 갈등, 미얄과 덜머리집 간의 갈등
 제의적 성격: 미얄과 영감은 잡귀를 막아주는 신적 존재로 여겨졌으며, 미얄과장은 풍요를 기원하는 제의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극적 특징: 공공 장소와 극중 장소의 유동적 사용, 악공의 극중 현실 개입, 희극적 과장과 서민적 표현의 활용
 비교: 양주 별산대 제8장과의 비교 - 두 작품 모두 처첩 간의 갈등을 다루지만, 별산대는 어머니의 애정을 강조하는 반면, 미얄과장은 부부 간의 권력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봉산탈춤은 약 200년 전부터 전승되어 온 민속극으로, 해서 일대의 주요 거리에서 성행했습니다. 3현 6각의 악기 연주와 가무적, 연극적 요소를 결합한 공연 형식을 지니고 있으며, 대동소이의 탈춤과 활발한 춤이 특징입니다. 가면은 종이로 제작되며, 요철이 심하고 눈망울이 크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