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순수한 사랑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해석 해설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해석 해설입니다.
백석의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는 세상의 속박에서 벗어나 순수한 사랑의 꿈을 그린 시입니다. 가난한 시인 '나'는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들의 사랑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나'는 이 더러운 현실을 버리고 나타샤와 함께 흰 당나귀를 타고 눈이 휘몰아치는 산골로 가고 싶어 합니다.
시에서는 눈의 하얀 색과 나타샤의 아름다움이 대비되어 순수하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아름다움과는 대조적으로 '나'의 현실은 가난하고 쓸쓸합니다. '나'는 현실과의 거리감과 단절감을 느끼며, 결국 환상적인 꿈속에서도 고독과 우수에 빠집니다.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는 현실 도피적이면서도 순수한 사랑에 대한 꿈을 담은 시입니다. 시인의 이국적 정취와 모더니즘적 시풍이 잘 드러나는 작품입니다.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불쌍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 밤은 눈이 내린다
나타샤를 사랑은 하고
눈은 내리고
나는 쓸쓸히 앉아 소주를 마신다
소주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내리는 밤 흰 당나귀를 타고
산골로 가자 울음소리가 나는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눈은 내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내 속에 와서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에 지는 것이 아니다
더러운 세상을 버리는 것이다
눈은 내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디선가 흰 당나귀도 오늘 밤이 좋아서 울 것이다
(출처: <여성> 1938.3)
핵심 정리
주제: 속된 현실을 벗어난 순수한 사랑의 꿈
특징:
하얀 색 이미지 사용
이국적 정취의 시어 사용
계절적 배경을 통한 주제 의식과 관련된 시적 분위기 조성
이해와 감상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는 백석의 후기 시에 속하는 작품으로, 현실 도피적이면서도 순수한 사랑에 대한 꿈을 담고 있습니다. 시에서는 나타샤와 흰 당나귀가 순수하고 환상적인 이미지로 등장하는데, 이는 시의 주제와 잘 어울립니다. 하지만 화자의 현실은 가난하고 쓸쓸하며, 이러한 대조가 시에 긴장감을 부여합니다.
이 시는 백석의 시적 세계에서 이질적인 작품으로 평가되기도 하지만, 그의 모더니즘적 시풍과 이국적 정취를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또한, 순수한 사랑에 대한 꿈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어 오늘날에도 감동을 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