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수능특강 중 박인로의 연시조 자경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마음 행동 경계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박인로의 연시조 자경가
박인로의 연시조 자경가 해석 해설
박인로의 연시조 자경가 해석 해설입니다.
박인로의 연시조, 자경가
박인로의 연시조 자경가(自警歌)출전 <노계집>
명경(明鏡)에 티 끼거든 값 주고 닦을 줄
아이 어른 없이 다 알고 있건마는
값없이 닦을 명덕(明德)을 닦을 줄을 모르도다. <제1수>
성의관(誠意關)* 돌아들어 팔덕문(八德門)* 바라보니
크나큰 한길이 넓고도 곧다마는
어찌해 진일행인(盡日行人)이 오도가도 아닌 게오. <제2수>
구인산(九仞山)* 긴 솔 베어 제세주(濟世舟)*를 만들어 내
길 잃은 행인을 다 건네려 하였더니
사공이 무상(無狀)하여 모강두(暮江頭)에 버렸도다. <제3수>
* 명경, 명덕 : 사람들의 마음가짐과 행동을 교화하려는 의도가 반영
* 성의관(誠意關) : 뜻을 정성스럽게 한다는 뜻의 관문.
* 팔덕문(八德門) :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충(忠), 신(信), 효(孝), 제(悌)의 8덕을 갖춘 문.
* 성의관, 팔덕문, 한길 : 세상 사람들이 살아가야 할 정도
* 구인산(九仞山) : 대덕(大德)으로 비유되는 높은 산.
* 제세주(濟世舟) : 세상을 구제할 배, 세상을 바른 길로 인도하려고 하는 의지가 드러남.
핵심정리
▶연대 : 조선 인조 때
▶종류 : 연시조. 전3수
▶성격 : 스스로를 경계하는 자경가.
▶제재 : 덕행과 우국(憂國)
▶주제 : 덕행 실천에 대하여 스스로의 마음이나 행동을 경계함
▶특징 : 의문문 형식으로 부정적 세태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드러냄
이해와 감상
박인로가 관직에서 은퇴한 수 은사(隱士) 시기의 작품이다. 스스로 자신의 마음이나 행동을 노래한 것으로 수도(修道) 상문(尙文)하는 유자(儒者)의 풍모를 볼 수 있다.
자경(自警)은 말 그대로 스스로 자신을 일깨운다는 내용이다. 무부(武夫)로서 젊은 시절을 보낸 작자에게 좀처럼 영달의 기회가 없었다. 의연히 관직을 박차고 수도 상문(修道尙文: 항상 학문으로 수도함)의 길을 걸었던 것이다. 아침에 도를 닦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고 한 성현의 말이 아니라 해도 인륜 대도가 정도(正道)임은 너무나 확연하나, 사람들은 사도(邪道)에만 이끌려 가는 세속이므로 이에 자손을 경계하고자 한 것이다. 탄탄대로의 팔덕문이 훤하게 열려 있건만 사람들은 어디에다 정신을 팔아 하루종일 지나는 사람이 없다는 말인가? 세속을 탓하며 경계하고자 하는 타산지석의 교훈이 아닐 수 없다.
작자는 젊은 시절을 내우 외환의 와중에서 무부(武夫)로서 보냈다. 이러한 혼탁한 시대를 구하고자 청운의 포부를 심었지만, 결국은 그러한 기회가 주어지지도 않아 은사(隱士)로서의 세월을 보내게 되었다. 이러한 자기의 능력이 미치지 못함을 자탄하며 항상 마음으로 자신을 경계하고자 한 것이다. 초장의 긴 솔은 동량재(棟樑材)를 말한 것이며, 종장의 사공은 무능한 자신을 일컫는 말이다.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14년 ebs수능특강 b
2013년 7월 전국연합 a, b
2011년 ebs고득점 300제
2011년 즐겨찾기 ebs연계 실전모의고사
2006년 11월 2학년 전국연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