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완성 중 박상우의 소설 내 마음의 옥탑방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완성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희망에 대한 의지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박상우의 소설 내 마음의 옥탑방
박상우의 소설 내 마음의 옥탑방 해석 해설
박상우의 소설 내 마음의 옥탑방 해석 해설입니다.
박상우의 소설, 내 마음의 옥탑방
줄거리
나(민수)는 스포츠 용품 수입업체의 영업사원이다. 자신을 벌레처럼 취급하는 형의 17층 아파트에 얹혀살며 매일 백화점의 5, 6층에 있는 매장에 가서 영업실적을 확인해야 하고, 그 결과를 11층에 있는 회사에 올라가 보고해야 한다. 이 끔찍한 현실에서 벗어날 수 없는 나에게는 지상의 공간이 인간의 온갖 속물스러움이 판치는 죽음의 장소로 여겨진다. 나는 지상에 편입되지 못하기에 지상 위로 올라가고자 한다. 나에게는 신화 속의 시지프처럼 자신의 운명을 극복하려는 의지나 용기가 없다. 모든 행위의 궁극적 좌표를 잃은 채 방황하다가 백화점 안내사원인 주희를 만난다.
그녀는 화려한 직업과는 달리 초라한 옥탑방에서 산다. 그러면서도 욕망의 끈을 줄기차게 간직한다. 엄마는 갑자기 돌아가셨고, 소아마비인 여동생은 이모집에 맡겨져 있다. 집다운 집과 가족다운 가족이 없는 그녀는 비록 그것이 인간적인 타락일지라도 지상의 주민이 되고픈 꿈(희망)을 가지고 현실의 어려움을 극복하며 살아간다. 나는 진정한 시지프를 닮은 그녀를 만나 운명을 멸시하고 그것에 저항하고 싶은 용기가 일시적으로나마 생겨난다. 그러나 현실에 대한 체념과 비관에 빠진 거세당한 시지프인 나와 지상으로 끊임없이 내려가려는 꿈꾸는 시지프인 그녀는 서로의 어긋난 꿈 때문에 결국 헤어진다. 그후 10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지만 나는 여전히 고통을 자각하기보다 그것에 길들여지며 나이를 먹어가고 있다. 결혼을 하고 대기업의 홍보실로 직장을 옮겼어도 나는 여전히 거세당한 시지프들의 세계에 안주하고 있는 것이다.
핵심정리
▶ 갈래 : 단편 소설
▶ 성격 : 회고적, 고백적
▶ 배경 : ① 시간 - 1970년대 ② 공간 - 서울
▶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 주제 : 불안한 시대의 절망 속에서 희망을 발견하려는 삶의 의지
이해와 감상
이 소설에서 물질적 풍요를 의미하는 백화점과 고단하고 힘겨운 삶을 의미하는 옥탑방 사이의 간극은, 시지프로 상징되는 인간의 삶을 부조리하게 만든다. 작가는 세상과 담을 쌓고 살아가고 있는 나와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애쓰는 주희를 제시하면서, 물질적 안락함이 삶의 척도가 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살 것인지를 묻고 있다. 즉, 인간의 실존적인 삶에 대한 고민을 담아내고 있는 것이다.
옥탑방의 의미
- 나가 그녀와 갈등하며 사랑의 위기를 겪는 공간이다.
- 나가 자신과 그녀의 가난한 처지를 인식하는 공간이다.
- 나가 그녀와의 재회를 간절히 기다리고 있던 공간이다.
- 나가 그녀와 자신의 관계에 대해 깊이 고민한 공간이다.
더 알아보기
알베르 카뮈는 「시시포스의 신화」에서 일상이 반복되고 불평등과 모순이 가득한 인간 삶의 조건을 부조리로 보았다. 그는 부조리를 극복하고 위대한 삶을 살 수 있는 인간 원형을 시시포스의 신화에서 발견한다. 시시포스는 죽음의 신을 속인 죄로, 산 정상에 이르자마자 굴러 떨어지는 무거운 바위를 다시 정상까지 밀어 올리는 벌을 영원히 받게 된 신화 속 인물이다. 카뮈는 시시포스를 신의 뜻에 따르는 피동적 인간으로 보지 않고, 부조리한 운명 속에서도 자유 의지로 치열하게 고뇌하고 투쟁하는 적극적 인간으로 본다. 카뮈는 시시포스의 모습에서 반항, 자유, 열정을 이끌어 내고, 현대인이 권력과 권위, 부를 맹종하며 안일을 선택하는 나약한 인간이 되는 대신에 반항, 자유, 열정으로 운명의 부조리에 맞서는 행복한 시시포스가 되어야 한다고 했다.
출제목록
2018년 ebs수능완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