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상의 고전소설 이대봉전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5. 6.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완성 중 미상의 고전소설 이대봉전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완성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위기 극복 남녀간 사랑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미상의 고전소설 이대봉전

미상의 고전소설 이대봉전

 

 

미상의 고전소설 이대봉전 해석 해설

미상의 고전소설 이대봉전 해석 해설입니다. 

 

이대봉전

줄거리

명나라 성화연간, 기주 지방에 이익이라는 이가 있었다. 그는 이부시랑이라는 높은 벼슬에 오르고 명망이 높았지만, 후사가 없었다. 이익은 천축국 백운암에 시주를 많이 하고 신령스러운 태몽을 꾼 후에 아들 대봉을 얻는다. 그리고 마침 같은 날에 태어난 기주 장미촌 장한림의 무남독녀 애봉과 혼약을 약속한다.

이 무렵, 조정에서는 간신 왕희가 국권을 마음대로 휘두르고 있었다. 이에 이익은 왕희를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 하지만 왕희의 누명으로 인해 그는 남해절도로 유배당한다. 왕희는 뱃사공을 매수하여 이익 부자를 죽이려 했으나, 용왕의 도움으로 이익은 외딴 섬에 머무르게 되고, 대봉은 천축국 금화산 백운암으로 가서 도승으로부터 마법을 배운다.

한편, 장한림은 이익 일가의 참변을 듣고 탄식하다 병을 얻어 부부가 함께 죽고, 애봉만 시비들과 함께 살게 된다. 이때 왕희는 애봉의 미모가 뛰어나다는 소식을 듣고 며느리로 맞이하려 했지만 거절당하자 납치하려 한다. 이를 미리 알아챈 애봉은 도망쳐 희운이라는 이름으로 호씨라는 과부집에 의지해 무예를 익힌다.

천자는 과거의 잘못을 깨닫고 인재를 구하기 위해 과거를 실시한다. 희운은 과거에 응시해 장원급제하고 한림학사가 된다. 이 무렵, 선우족이 세력을 키워 중원을 침공하자, 장한림은 자원하여 대원수가 되어 출전한다. 장원수는 선우의 대군을 격파하고 교지국까지 추격해 진군한다.

함께 북흉노가 중원을 침공해 황성을 점령하고 천자를 위협해 위험한 상황에 빠뜨린다. 이때 산사에서 수학하던 대봉은 도승의 지시에 따라 천리길을 하루에 달려 도성에 도착해 흉노군을 물리친다.

대봉은 천자에게 이름을 밝히지 않고 흉노를 추격해 서릉에 이르러 흉노를 베고 적군의 항복을 받는다. 그 후 돌아오던 중에 바다에서 폭풍을 만나 무인도에 표류하게 되는데, 그곳에서 아버지 이익을 만나 함께 도성에 가서 천자를 알현한다.

한편, 장원수는 선우를 추격해 항복을 받고 회군하면서 승전보고를 천자에게 올린다. 또한 자신이 여자라는 사실과 장한림의 딸이라는 것을 밝힌다. 그리고 하사받은 직책을 사양하고 왕희를 직접 처벌할 것을 요구한다.

대봉도 왕희를 직접 처벌할 것을 요청해 왕희의 처형장에서 애봉과 대봉이 만난다. 전쟁을 평정하고 부모의 원수를 갚은 대봉은 애봉과 결혼하고 초왕이 되어 부귀영화 속에서 일생을 마친다.

핵심 정리

 장르: 고전 소설
 배경: 중국, 명나라
 성격: 전기적, 비현실적
 주제: 나라와 군주에 대한 충의와 선악의 대결을 중심으로 한 남녀 주인공의 활약
 특징:
     국가와 군주에 대한 충성심과 선악의 대결이라는 구조로 흥미롭게 전개되는 조선 후기 인기 군담소설
     당시 남성 중심 사회를 비판하고 여성도 남성과 동등한 능력을 가졌다는 작가의식이 반영됨

해석 및 감상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유행한 창작 군담소설의 대표작으로, 특히 정혼자인 애봉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애봉은 과거에 급제해 벼슬길에 나섰고, 외적이 침략했을 때 대원수로 출전해 공을 세운다. 이러한 활약은 여성의 사회 활동이 부정된 조선 사회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이는 당시 남성 중심 사회를 비판하고 여성도 남성과 동등한 능력을 가졌다는 작가의 의식이 반영된 것이다.

또한, 작품의 전개가 사랑하는 남녀의 약속, 이별, 시련 끝의 재회로 이루어져 있어, 인간의 삶에서 결혼을 가장 중시하는 의식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작품은 "유문성전", "여장군전", "옥루몽" 등과 함께 부부의 영웅적 활약을 담고 있어, 여걸소설의 범주에 속한다. 여성 의식을 탐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출제 목록

 2019년 ebs 수능 완성형
 2017년 6월 1학년 전국연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