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김훈의 소설 남한산성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민중의 의지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훈의 소설 남한산성
김훈의 소설 남한산성 해석 해설
김훈의 소설 남한산성 해석 해설입니다.
김훈의 소설, 남한산성
줄거리
청나라의 대군이 압록강을 건너 침략해 오자 조선의 임금인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신한다. 그곳에서 47일간 버틴 끝에 인조는 결국 심전도에서 항복한다. 남한산성에서 버티는 동안 신하들은 공허한 논쟁만 거듭하고, 군사와 백성들은 굶주림에 시달린다. 백성들은 나라의 명령에 따라야만 했고, 점점 불만이 커져간다. 성 밖에서는 청나라 군대가 성을 포위하고, 성 안에서는 신하들이 명분을 내세워 서로 다툰다. 화친을 주장하는 최명길과 항전을 주장하는 김상헌의 심한 대립을 보면 어느 쪽도 옳다고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고립된 상황이 계속되자 인조는 고민 끝에 결국 항복한다. 세자는 청나라로 볼모로 끌려가고, 인조는 조선으로 돌아온다. 길고 추운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오자 조선군은 해산되고 백성들은 집으로 돌아온다. 군신들은 무거운 마음으로 떠나지만 백성들은 평소와 다름없이 살아간다.
핵심 정리
▶ 장르: 장편소설, 역사소설
▶ 성격: 역사적
▶ 배경: 17세기 병자호란, 남한산성
▶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 주제: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벌어진 조정의 대립과 위기를 극복하려는 백성들의 의지
▶ 갈등:
- 주전파와 주화파의 갈등
- 인조의 내적 갈등
- 청나라와 조선의 갈등
▶ 특징:
- 짧고 간결한 문장 사용으로 사건 전개에 긴박감과 현장감 부여
등장인물
▶ 김상헌: 예조 판서로서 적극적으로 성 밖으로 나가 싸우자고 주장하는 주전파 대표 인물이다. 냉철한 현실 인식과 강한 실천력을 보인다.
▶ 최명길: 이조 판서로서 청나라와 화친을 맺어 나라의 살길을 찾자고 주장하는 주화파 대표 인물이다. 병자호란 내내 김상헌의 입장과 대립하며 당장의 치욕을 감내하더라도 살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이 옳은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 인조: 병자호란으로 인해 남한산성에 피신한 임금이다. 백성과 신하를 아끼는 인간적인 면을 지니고 있지만 나라가 위급한 상황에서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우유부단한 모습을 보인다.
이해 및 감상
이 작품은 병자호란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창작된 소설로, 46일 동안 남한산성에 고립된 채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을 임금, 대신, 백성들의 입장에서 각자의 입장에서 서술한다. 싸워야 한다는 주장과 물러서야 한다는 주장이 엇갈리고, 임금은 옳은 판단을 내리지 못한 채 시간만 흘러간다. 그러자 청나라 군대는 임금이 있는 곳으로 직행한다. 위기에 몰린 인조는 우선 봉림대군과 신료들을 강화도로 피신시키고 자신도 다음 날 강화도로 이동하기로 결정한다. 하지만 청나라 군대가 이미 강화도로 가는 모든 길을 봉쇄해 버려 인조와 신하들은 어쩔 수 없이 남한산성으로 피신한다. 작가는 청나라의 침략, 남한산성에서의 저항, 삼전도에서의 굴욕적인 항복 등을 현대적 정서에 맞게 재구성했다. 또한 간결하면서도 힘 있는 문장을 통해 전쟁의 비참함과 현실에 대한 대응 방식에 대한 주전파와 주화파의 갈등, 인조의 고민 등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더 알아보기
출제 목록
2019년 ebs 수능 특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