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춘수의 시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4. 23.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김춘수의 시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순수, 맑음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춘수의 시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김춘수의 시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김춘수의 시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해석 해설

김춘수의 시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해석 해설입니다. 

 

김춘수의 시,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김춘수 시선집에서 발췌한 시,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샤갈의 마을에는 3월의 눈이 온다.
봄을 바라고 섰는 사나이의 관자놀이에
새로 돋은 정맥이 바르르 떤다.

눈은 수천 수만의 날개를 달고
쥐똥만한 겨울 열매 위에 내린다.

올리브빛으로 물이 들고
제일 아름다운 불이 굴뚝을 덮는다.

샤갈의 마을에는 3월에 눈이 온다.
밤에 아낙들은 흰 눈을 바라보며
아궁이에 지핀 불을 더욱 피운다.

핵심 정리

감상의 초점

이 단연 형태의 작품은 순수한 생명 의식을 잘 포착했다. 시적 의미를 형상화한다기보다 그저 마음 속에 떠오르는 순수한 심상들을 엮어 놓았는데, 이는 순수한 마음 상태를 표현하는 절대시 추구의 경향을 보인 김춘수 시인의 60년대 작품 경향을 잘 드러낸다.

갈래: 서정시, 자유시

표현상의 특징: 현재형 시제 사용(생동감 있는 생명의식 표현에 적합)

이미지의 연결

- 맑고 순수한 생명감
- 눈: 생동감 있게 온 천지를 덮는 주(主) 제재
- 새로 돋은 정맥(靜脈): 퍼져 나가는 봄의 생명감
- 올리브빛: 메마른 겨울 열매들에게 생명을 부여함
- 불: 아낙의 맑은 마음

주제: 순수하고 맑은 생명 감각

특징:

- 연을 나누지 않음
- 현재형의 시제를 사용하여, 생동감 있는 이미지를 표현함.
- 각 문장들은 산문적 의미 전달이 단절된 채, 서술적 이미지만으로 연결됨

시적화자의 정서와 태도

삼월의 눈, 정맥의 떨림, 올리브빛의 열매, 아궁이의 불로 이어지는 이미지를 통해 맑고 순수한 생명감을 그리고 있다.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어떤 의미를 전달하기보다는 시인의 마음 속에 떠오르는 심상들을 감각적인 언어로 포착해 순수한 이미지만을 추구한 무의미의 시를 실험한 작품이다. 전 15행 단연으로 이루어진 점, 현재형 시제를 사용하여 생동감 넘치는 이미지를 나타낸 점, 각 행들이 논리적인 의미 전달과는 무관하게 서술적 이미지만으로 연결되어 있는 점 등을 표현상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논리적으로 아무런 연관이 없는 이질적인 이미지들을 적절하게 조화하여 봄을 맞이하는, 순수하고 맑은 생명감을 감각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표현 기법

이 시는 전체적으로 봄의 생동감과 이국적이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환기시키고 있다. 사나이의 관자놀이에 새로 돋는 정맥, 3월의 눈, 겨울 열매, 아궁이를 지피는 아낙들은 상호 연관성이 떨어지는 소재들을 병치시킨 것이다. 또한 푸른색, 정맥과 흰색 눈, 올리브 빛 겨울 열매, 불 등 대비적인 이미지가 나타나 있다. 즉, 시인이 샤갈의 그림을 보고 마음 속에 떠오르는 순수한 심상들을 감각적인 언어로 형상화하여 환상의 분위기를 부각시키고 있는 것이다.

더 알아보기

출제 목록

- 2018 수능특강
- 2013 ebs n제 b형
- 2014 ebs 수특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