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수능특강 중 김정한의 소설 모래톱 이야기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부조리 저항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정한의 소설 모래톱 이야기
김정한의 소설 모래톱 이야기 해석 해설
김정한의 소설 모래톱 이야기 해석 해설입니다.
김정한의 소설, 모래톱 이야기
김정한의 소설 모래톱이야기(<문학>1966)
줄거리
건우란 소년은 내가 직접 담임했던 제자다. 당시 나는 K라는 소위 일류 중학에서 교편을 잡고 있었다. 낙동강 하류의 조마이섬 사람들은 땅에 대한 한 (恨)을 지니고 있다. 자기네 땅을 가지고 살지 못하는 것이다. 그것은 외세의 압제와 제도의 불합리로 말미암아 오늘에 이르도록 토지 소유의 혜택을 입지 못하고 사는 것이다. 일제 때는 동양 척식 회사의 땅으로, 그 후에는 문둥이 수용소로 소유자가 바뀌었다. 건우네 집도 마찬가지였다.
건우네는 아버지가 삼치잡이에 나가서 죽고 할아버지 갈밭새 영감, 어머니와 같이 지낸다. 살기가 매우 힘들었다.
이렇게 살기가 힘든 어느 날 조마이섬에 장마가 닥치고, 강둑을 파헤치지 않고는 섬 주민들이 살 수 없는 위급한 상황이 된다. 이때 유력자의 앞잡인 청년들이 나타나 이를 방해하고 엉터리로 둑을 막는다. 섬을 통째로 삼키려는 무리들의 소행에 화가 난 갈밭새 영감이 청년 하나를 탁류에 던진다. 이로 인해 영감은 구속되고 감옥살이를 하게 되고 건우는 행방 불명된다. 모래톱은 황폐해졌고, 새 학기가 되어도 건우는 나타나지 않고 조마이섬을 군대가 정지하였다. 나는 조마이섬에 사는 윤춘삼씨에게 이런 이야기를 들으며, 그의 눈에서 떨어지는 눈물을 이방인처럼 보고 있었다.
그리고 새학기가 되어도 건우군은 학교에 나타나지 않았다. 끝내 돌아오지 않았다. 그의 일기장에는 어떠한 글이 적힐는지?
황폐한 모래톱 조마이섬을 군대가 정지하고 있다는 소문이 들렸다.
핵심정리
▶갈래 : 단편소설, 사실적 농민소설, 참여소설.
▶배경 : 시간 일제 시대부터 1960년대 공간 낙동강 하류 조마이 섬
▶경향 : 사실주의
▶성격 : 저항적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어조 : 권력의 횡포에 대한 분노를 띤 어조
▶주제 : 소외 지대 인간의 비극적 삶과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저항.
구성
▶발단 : 건우 소년에 대한 나의 관심. 가정 방문.
▶전개 : 조마이섬 사람들의 비참한 삶. 윤춘삼氏와 갈밭새 영감으로부터 들은 섬 이야기.
▶위기․절정 : 조마이섬에 덮친 홍수. 조마이섬 주민을 구하려고 둑을 허물다 갈밭새 영감은 살인죄를 저지름.
▶결말 : 폭풍우가 끝난 뒤의 이야기.
등장인물
▶나 : K중학교 교사. 건우의 담임이자 소설가. 이 작품의 관찰자(서술자)․고발자 역할을 수행하면서 인물들과 사건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건우 : K중학교 학생. 조마이섬에서 통학을 한다. 인식이 뚜렷하고 순박한 성격을 지닌 학생.
▶갈밭새 영감 : 주인공. 건우의 할아버지. 조마이섬을 대표하는 전형적 인물. 외압에 억눌리지 않는, 의지가 굳은 어민.
▶윤춘삼 : 부당한 옥살이도 함. 저항적. 갈밭새 영감과 유사한 성격
▶건우 어머니 : 건우의 홀어머니. 정결하면서도 강한 인상을 준다.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소외 계층이 겪어야 하는 삶의 애절함과 그 비극을 그린 소설이다. 즉, 한국전쟁으로 전사한 아버지와 가진자의 앞잡이요 깡패를 물속에 던지고 잡혀간 할아버지를 가진 소년의 이야기이다. 삶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로 사회 현상의 모순과 대결해 나가는 인간의 처절한 삶을 묘사한 작품이다. 현실 사회에서 일어날 수 있는 어두운 일면을 그린 소설로, 하층 계급의 삶에 대한 처절한 투쟁과 암담한 현실을 사실적 수법으로 그렸다.
이 작품에는 작자의 현실에 대한 저항 정신과 고발 정신이 뚜렷이 나타나 있다. 이 소설은 조마이섬이라는 농촌을 배경으로 하여, 비뚤어진 시대상에 항거하고, 서민의 고난을 증언한 작품이다. 모래톱을 휩쓴 홍수의 와중에서 그 섬을 구해내기 위하여 유력자가 만든 엉터리 둑을 파괴한 행동, 이를 저지하려는 유력자의 앞잡이를 살해한 갈밭새 영감의 저항은 부당하게 수탈당하고 억울하게 짓눌린 삶을 되찾으려는 행위로서 자기 희생을 통한 자유를 선택한 것이다. 내 땅을 부당하게 빼앗고 섬을 송두리째 집어 삼키려는 유력자(有力者)에게 저항하는 한 농민의 처절한 투쟁을 통하여 비참한 농촌 현실을 증언하고 있다.
1. 이 작품은 소외 계층이 겪어야 하는 삶의 애절함과 그 비극을 그린 소설이다. 즉, 한국전쟁으로 전사한 아버지와 가진자의 앞잡이요 깡패를 물속에 던지고 잡혀간 할아버지를 가진 소년의 이야기이다. 삶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로 사회 현상의 모순과 대결해 나가는 인간의 처절한 삶을 묘사한 작품이다. 현실 사회에서 일어날 수 있는 어두운 일면을 그린 소설로, 하층 계급의 삶에 대한 처절한 투쟁과 암담한 현실을 사실적 수법으로 그렸다. 이 작품에는 작자의 현실에 대한 저항 정신과 고발 정신이 뚜렷이 나타나 있다.
2. 이 소설은 조마이섬이라는 농촌을 배경으로 하여, 비뚤어진 시대상에 항거하고, 서민의 고난을 증언한 작품이다. 모래톱을 휩쓴 홍수의 와중에서 그 섬을 구해 내기 위하여 유력자가 만든 엉터리 둑을 파괴한 행동, 이를 저지하려는 유력자의 앞잡이를 살해한 갈밭새 영감의 저항은 부당하게 수탈당하고 억울하게 짓눌린 삶을 되찾으려는 행위로서 자기 희생을 통한 자유를 선택한 것이다. 내 땅을 부당하게 빼앗고 섬을 송두리째 집어 삼키려는 유력자(有力者)에게 저항하는 한 농민의 처절한 투쟁을 통하여 비참한 농촌 현실을 증언하고 있다.
3. 이 소설의 시점: 1인칭 관찰자의 시점으로 서술자인 나는 고발(告發)자적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인물들과 사건을 객관적(客觀的)으로 바라보려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갈밭새 영감을 주축으로 한 조마이섬 사람들의 강인한 삶과 현실에 대한 저항이 중심 줄거리로서 관찰자에 의해 이야기되므로 이 작품은 액자성이 있다 하겠다.
4. 행동 문학의 속성과 리얼리즘 문학: 갈밭새 영감의 행위부당하게 수탈당하고 억울하게 짓눌린 삶을 되찾으려는 자기 희생을 통한 자유의 행동이자 생존권을 스스로 보호하 려는 가장 현실적인 휴먼 드라마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