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소운의 수필 특급품(1999대수능)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3. 5. 28.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수능완성 중  김소운의 수필 특급품(1999대수능)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완성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유연한 삶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소운의 수필 특급품(1999대수능)

김소운의 수필 특급품(1999대수능)

 

 

김소운의 수필 특급품(1999대수능) 해석 해설

김소운의 수필 특급품(1999대수능) 해석 해설입니다.

김소운의 수필, 특급품(1999대수능)


김소운의 수필, 특급품<건망허망(健忘虛妄)>(1952)

핵심정리
▶갈래: 수필
▶성격: 유추적
▶특징: 사실과 생각을 적절히 섞어서 독자의 이해를 도움

구성
▶기(起)그 유연성에 의해 최고의 바둑판으로 인정받는 비자반의 예
▶서(敍)비자의 유연성과 인생의 과실을 결부시킴.
▶결(結)유연성으로 과실을 다스릴 수 있음.
▶주제: 유연성 있는 삶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비자반의 유연성을 통하여 인생의 삶도 그러한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정조를 잃게 된 부인이 죽음으로써 자신의 과실을 심판한 것을 최선의 선택이 아니었다고 평가하며, 전 남편에 대한 지조를 지키지 못한 채 고통스럽게 살아가는 친구의 미망인에게 고통을 감내하면서 살아가는 것이야말로 최선의 삶이라고, 비자반의 유연성을 예로써 들려 주고 있다.
작가가 인간의 삶에 대해 매우 깊은 이해심과 애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추가>
이 작품은 비자반이 우연한 사고로 생긴 균열을 특유의 유연성으로 극복하면 특급품이 되는 것처럼, 인생에 있어서도 과실(過失)을 극복할 수 있는 의지와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작가는 이와 같은 주제를 비자반의 예화와 다른 여러 가지 예화를 통해 현실감 있게 전달하고 있다. 제시된 부분 다음에 나오는 첫 번째 예화는 자신의 침실에 들어온 남자를 잠결에 남편으로 착각하고 동침했다가 사실을 알고 난 뒤에 자결한 부인의 경우인데, 작가는 이와 같은 지조와 의기를 칭송하면서도 여기 하나의 여백을 남겨 두고 싶다.고 하여, 인생에 있어서 과실(過失)의 아픔을 딛고 꿋꿋이 살아가는 태도가 필요한 것 아니냐고 묻는다. 작가는 그 다음으로 6·25 전쟁 뒤의 미망인들이 생계를 잇기 위해 할 수 없이 윤락을 하게 되는 경우를 거론하면서, 청교도적인 도덕을 앞세워 그들을 비난하기에 앞서 그들의 쓰라린 고통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고 강변한다. 그리고 마지막 예화로 납북 미망인인 한 부인의 경우를 들고 나서, 과실이 예찬할 만한 것은 아니지만 과실을 딛고 일어섬으로써 더 크고 깊어지는 인격이 있다고 하면서, 인생이 바둑판만도 못하다고 해서야 될 말인가.라는 반문으로 작품을 끝맺었다. 이와 같이 이 작품은 과실을 범하기 쉬운 인간의 무력함과 어쩔 수 없이 시련을 겪게 되는 현실의 혹독함을 전제로 하여, 그와 같은 시련과 과실을 딛고 일어설 수 있다는 것이 인간의 존엄성을 진정으로 보여 주는 것이라 하였다. 인간의 무력함과 고통에 대한 작가의 이해심과 따뜻한 애정을 느끼게 하는 작품이다.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14수능완성
1999대수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