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수능완성 중 김광섭의 시 산 1996년 대수능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완성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삶과 자연의 일체감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광섭의 시 산 1996년 대수능
김광섭의 시 산 1996년 대수능 해석 해설
김광섭의 시 산 1996년 대수능 해석 해설입니다.
김광섭의 시, 산1996년 대수능
김광섭의 시, 산(山)(<창작과 비평> 1968.여름호)1996대수능
이상하게도 내가 사는 데서는
새벽녘이면 산들이
합니다.
*새둥이 : 새둥지
*들성거리지 : (물건이) 들렸다 가라 앉았다 하지, 들썩거리지.
key point
▶산의 이미지이다. 숭고함, 넉넉함, 자애로움, 섬세함, 포용성, 장엄함, 계시성(啓示性), 달관성을 가지고 있는 산의 이미지를 충분히 활용하고 있다.
핵심정리
▶시작(詩作) 배경
이 작품은 작가가 병의 고통을 이겨낸 다음, 사람과 자연을 일체감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이 작품의 산은 때로는 화를, 때로는 서러움을, 때로는 여유로움을 지닌 것으로 파악한다.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감각적, 예찬적
▶심상 :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심상
▶구성
산의 묵묵함(1연).
산의 섬세함(2연)
산의 포용성(3연)
산의 숭고함(4연)
산이 주는 교훈성(59연)
▶제재 : 산
▶주제 : 사람과 자연의 일체감
▶표현상의 특징
①의인화를 통해 산의 덕성을 형상화함.
②산의 다양한 속성들 통해 주제를 형상화 함.
연구문제
1. 김소월 <삼수갑산>과 이 작품에 나타나는 산의 공통적인 속성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96.대입수능 기출문제] ④
① 인간과 대립적인 관계에 있다.
② 회상적 시간 속에 있는 다채로운 공간이다.
③ 고향 가는 길을 방해하는 장애물이다.
④ 의지를 가진 존재로 형상화된 것이다. (정답)
⑤ 삶의 모습을 다양하게 드러내는 소재이다.
2. 이 시는 어떤 상황을 노래한 것인지 상상하여 한편의 이야기로 꾸며 봅시다.
시인은 1965년 4월 22일 서울운동장에서 야구경기를 구경하다가 뇌일혈로 졸도, 일주일 만에 깨어나고 이후 약 수 년을 죽음과의 끈질긴 투쟁으로 보낸다. 그런 가운데 시인은 [생의 감각]이라는 시를 쓰게 된다. 즉, 생명의식과 인간존재에 대한 내밀한 성찰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서 차차 시인은 사회적 존재, 현실적 존재로서 인간 현실에 대한 문명비판적 태도를 가지게 된다. 이것은 물론 1960년대 후반부터 이 땅에 대두되기 시작한 산업화의 병폐와 부조릴 문제로 연결된다.
이 시는 긍정적인 자연관을 가지고 삶과 사람과 자연의 일체감을 그려낸 시이다. 하지만 종래 청록파들의 시와는 달리 자연의 서경을 노래하거나 자연친화만을 묘사하지는 않는다. 그보다는 산이 주는 넉넉함과 자애로운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면서 산의 장엄함과 포용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산에게 있어서 산의 모습은 참모습의 인간과 이런 인간들이 어울려 이루는 참된 인간적 삶의 또 다른 모습이다.
산을 인간과 유리된 찬양과 외경의 대상만이 아니라 늘 인간 가까이서 인간과 함께 지내려는 친한 친구의 모습으로 그려내고 있다. 산은 모든 것을 품안에서 키우며 따뜻하게 감싸준다. 억지로 구속하고 간섭하는 일은 없다. 그저 묵묵히 웃으며 기다릴 뿐이다. 그렇지만 산은 무턱대고 기다리는 것은 아니다. 사람 사는 꼴이 어수선 하면 은근한 자연의 섭리로 인간을 깨치려 한다. 때로는 신경질도 부리며 엄한 스승의 모습을 보이고, 마무를 기르는 인내와 벼랑을 오르는 겸허를 가르치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삶의 스승으로서의 산의 모습, 다시 말하면 산의 자세로서 인간의 모습을 바라는 시인의 의지를 보게 된다.
더 알아보기
산의 속성 : 너그러움, 자애로움, 다정함, 신성함, 고결함, 겸허함, 친근함 등
▲출제목록
2014년 ebs 수능완성 b
2103년 ebs수능특강
1996년 대수능출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