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광규의 시 상행 [3] 해석 해설 주제 특징 핵심 정리

by bloggerkim3 2024. 3. 7.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특강 중  김광규의 시 상행 [3]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소시민 속물적 태도 비판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광규의 시 상행 [3]

김광규의 시 상행 [3]

 

 

 김광규의 시 상행 [3] 해석 해설

 김광규의 시 상행 [3] 해석 해설입니다.







김광규의 시, 상행


김광규의 시, 상행(上行)(<반달곰에게>(1981))
  
가을 연기 자욱한 저녁 들판으로
상행 열차를 타고 평택을 지나갈 때
<저작권보호를 위하여 하략합니다>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율격 : 내재율
▶성격 : 비판적. 현실 참여적. 반어적
▶어조 : 냉소적이고 비판적 태도가 나타나는 반어적 어조
▶제재 : 기차의 창을 통해 보이는 풍경
▶주제 : 소외된 농민의 고통을 무관심한 소시민의 속물적 태도에 대한 비판
▶표현상의 특징 : ①반어적 어조로 주제를 형상화 함 ②상징적 소재를 통해 근대화의 현실을 비판함.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서울로 가는 기차 안에서 벌어지는 행태와 기차 밖에 존재하는 풍경을 대비시키고 있다. 기차의 바깥에 존재하는 것은, 근대화가 가져 온 풍요에서 소외된 농민과 서민의 고통스런 현실이다. 󰡐농악으로 질식한 풀벌레의 울음󰡑과 󰡐오랫동안 가문 날씨󰡑는 농민과 서민이 처한 고통스런 삶의 현실을 비유적이고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시구인 것이다. 이에 비해 기차 안에 존재하는 것은 소시민 혹은 중산층의 삶이다. 즉, 이들은 근대화의 혜택을 누리며 풍요롭게 살고 있는 사람들인 것이다. 화자는 이들이 󰡐근대화의 풍요롭고 힘찬 겉모습만을 보고 있으며, 농민과 서민의 소외되고 궁핍한 삶은 그들에게 󰡑심야 방송이 잠든 뒤의 전파 소리 같은 듣기 힘든 소리󰡐에 불과하다고 비판하는 것이다. 표면적으로 이 작품의 화자는, 작중 청자(聽者)로 설정된 소시민 또는 중산층의 인물을 향하여 농민과 서민의 삶에 관심을 가지지 말고 편안하게 살라고 말하지만, 그 이면에는 시인은 그런 현실에 눈감고 속물적으로 살아가는 그들의 태도를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너를 위하여 / 나를 위하여.󰡐라는 마지막 부분의 표현은, 이와 같은 비판이 시인 자신에게도 향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즉, 시인은 자신의 소시민적인 삶을 비판하며 반성하고 있는 것이다.
  





시적진술(표면적 의미)

함축적 의미, 주제의식


말아야 할 것

해야 할 것

  


낯선 얼굴을 너의 모습이라고 생각하는 것

낯익은 얼굴들을 받아 들이는 것

일상성에 매몰된 삶, 현실에 대한 비판 의식을 상실한 삶에 대한 비판


듣기 힘든 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

즐거운 여행을 하는 것

부정적인 현실 상황 및 그것에 대한 비판을 외면하는 삶에 대한 비판


생각하기

침묵하기, 삶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것에 관심을 가지는 것.

암울한 현실 상황에 대한 저항이나 비판 의식을 버리고 현실적 삶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고민들, 사람들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한(진실을 호도하기 위한) 흥미 위주의 것, 근대화가 내세우는 외형적인 성장, 그리고 개인적인 이익 등에 관심을 기울이는 삶에 대한 비판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