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첨의 가전체 저생전 해석 해설

by bloggerkim3 2024. 6. 9.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완성 중 이첨의 가전체 저생전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완성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종이의 생애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이첨의 가전체 저생전

이첨의 가전체 저생전

 

 

이첨의 가전체 저생전 해석 해설

이첨의 가전체 저생전 해석 해설입니다. 

 

이첨의 가전체, 저생전(楮生傳)<동문선>

줄거리
내용은 서두, 선계(先系), 사적(事蹟), 후계(後系). 평결(評結)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서두에서 저생의 성은 저(楮닥나무), 이름은 백(白흼), 사는 곳은 종이의 생산지인 회계라는 것을 밝혔으며, 선계에서는 종이를 처음으로 만든 채륜의 후예라는 것을 서술하였다.
사적에서는 본래 그는 천성이 정결하여 무인보다 문인을 좋아하고 모학사(毛學士붓)와 교분이 두터웠으며, 학문을 하여 천지음양의 이치와 성명의 근원에 통달하였고, 제자백가의 글까지 모두 기록하였다고 하였다.
그리고 종이의 내력을 통시적으로 언급하여, 종이의 발명시기인 한 대부터, 진, 수, 당과 작자 당시인 원, 명에 이르기까지 종이의 용도와 내력을 기술하였다.
후계는 종이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누었다. 
평결에서는 종말을 설명하고, 후손들이 천하에 가득하다고 칭찬하였다.

▶어휘 및 구절풀이
생(生) : 성 뒤에 붙여 젊은 사람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채륜 : 중국 후한 중기의 환관으로 후난[湖南] 출생. 종이의 발명자로 알려져 있는 사람인데, 궁중의 집기 등을 제조 ․관리하는 상방령(尙方令)으로서,  97년에 검(劍) 등을 만들었고,  그 후 목간(木簡)․죽간(竹簡)․견포(絹布) 대신 쓸 수 있는 서재(書材)를 발명했다. 이것은 톱밥 ․헝겊 ․풀 등을 소재로 한 󰡐채후지(蔡侯紙)󰡑라는 종이이다. 그는 114년 용정후(龍亭侯)로 책봉되어 장락(長樂:福建省) 태복(太僕:卿)이 되었으나, 안제(安帝) 즉위 후에 정쟁에 말려들어 음독 자살하였다.
그의 아우는 모두 19명이나 된다 : 종이는 한 권이 20장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한 말.
중산 : 중국에 있는 지방의 하나로 예부터 품질 좋은 붓이 많이 나온다함.
명수 : 운명 또는 수명.
제자백가  : 춘추 전국 시대의 여러 학파.  공자(孔子),  관자(管子),  노자(老子), 맹자(孟子), 장자(莊子),  묵자(墨子), 열자(列子), 한비자(韓非子), 윤문자(尹文子), 손자(孫子), 오자(吳子), 귀곡자(鬼谷子)  등의 유가(儒家), 도가(道家), 묵가(墨家), 법가(法家), 명가(名家), 병가(兵家), 종횡가(縱橫家), 음양가(陰陽家) 등을 통틀어 이른다
책 :정치에 관한 계책을 물어서 답하게 하던 과거(科擧) 과목.
방정과 : 한나라 과거제의 하나
저국공 백주 자사 : 종이이기 때문에 닥나무 저자를 써서 저국공이라 한 것이고, 희기 때문에 백주라고 한 것임.
홍문관 : 고려 시대에, 학사(學士)들이 임금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성종 14년(995)에 숭문관을 고친 것이다.
저수량 : 중국 당나라 때의 서예가
구양순  :  중국 당(唐)나라 초의 서예가로 자 신본(信本). 담주임상(潭州臨湘:후난성) 출생. 진(陳)나라의 광주자사(廣州刺史)였던 아버지 흘(紇)이 반역자로 처형된 데다 키가 작고 얼굴이 못생겨서 남의 업신여김을 받는 등 어릴 적부터 불행한 환경을 참고 견디며 자랐다. 그러나 머리는 유난히 총명하여 널리 경사(經史)를 익혔으며, 수양제(隋煬帝)를 섬겨 태상박사(太常博士)가 되었다. 그 후 당나라의 고종(高宗)이 즉위한 후에는 급사중(給事中)으로 발탁되고, 태자솔경령(太子率更令)․홍문관학사(弘文館學士)를 거쳐 발해남(渤海男)에 봉해졌다. 그의 서명(書名)은 멀리 고려에까지 알려졌는데 이왕(二王), 즉 왕희지(王羲之)․왕헌지(王獻之) 부자의 글씨를 배웠다고 한다. 그러나 현존하는 《황보탄비(皇甫誕碑)》《구성궁예천명(九成宮醴泉銘)》《화도사비(化度寺碑)》등의 비와 《사사첩(史事帖)》《초서천자문》을 보면 오히려 북위파(北魏派)의 골격을 지니고 있으며, 가지런한 형태 속에 정신내용을 포화상태에까지 담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다. 그의 글씨는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해법(楷法)의 극칙(極則)이라 하며 칭송하였다. 그의 아들 통(通)도 아버지 못지 않은 능서가(能書家)로서 유명하다.
상고 : 서로 견주어 토론하는 것
정관의 좋은 정치 : 정관의 치로 중국 당(唐)나라 제2대 왕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의 치세(治世:626~649)를 말하며 이때의 연호가 정관(貞觀)이다. 수(隋)나라 말기 전국적인 동란과 백성의 피폐 가운데 굳건히 일어서서, 당나라의 국초(國礎)를 확립하여 중앙집권을 강화하였다. 율령체제(律令體制)의 정비에 따라 학교․과거(科擧)도 발달하였다. 안으로  방현령(房玄齡)․두여회(杜如晦)․위징(魏徵) 등의 명신들이 문치(文治)를 도왔으며, 밖으로는 돌궐(突厥)을 제압하고, 토번(吐審)을 회유하여 국위를 널리 떨쳤다.
정주학 : 심화 자료 참고
사마온공 : 사마광. 북송 때의 관료 정치가
자치통감 : 중국 북송 때 사마광이 지은 통사적 사서
왕안석 : 송(宋)나라의 개혁정치가. 신법당의 영수로 본적은 무주(撫州) 임천(臨川). 자 개보(介甫). 1042(경력 2)년 진사출신으로 강남지역의 지방관으로 근무하였으며 이재(理財)의 능력을 인정받았다. 때마침 정치의 일대 쇄신과 개혁을 갈망한 야심적 황제 신종(神宗)에 의해 발탁되어 역사적으로 유명한 파격적인 개혁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그는 1069년(熙寧 2)년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임명되어 국정전반을 관장하기에 이르자 한 기(韓琦)․사마광(司馬光) 등 구법당(舊法黨) 인물들을 축출하고 이재에 능한 강남출신 신진관료들을 대거 발탁 기용하여 신법(新法), 즉 농업생산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종래 가뭄과 홍수 등으로 황폐

댓글